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초오두(草烏頭), 투구꽃 ,오두(烏頭), 초오두(草烏頭), 해독(奚毒), 독공(毒公), 토부자(土附子), 죽절오두(竹節烏頭)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투구꽃, 초오두(草烏頭)는 놋젓가락나물의 뿌리이며 약재의 하나로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줄기는 다른 식물에 기대어 성장하는데 높이가 2m에 달한다. 뿌리의 유독성분은 아코니틴으로 진통, 진정효과가 있다. 약재의 하나이다. 조선시대의 이두 명칭은 파사(波事)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변형되어 ≪동의보감 東醫寶鑑≫에서는 바곳이라 하였다. 이 식물은 독성이 매우 강하여 사람을 해칠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줄기는 다른 식물에 기대어 성장하는데 높이가 2m에 달한다. 잎은 서로 어긋나 있으며 잎자루가 길고 잎은 3∼5갈래로 나누어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마름 모양이다. 이것이 다시 갈라지는데 끝이 뭉툭하다. 꽃은 9∼10월에 총상화서(總狀花序:긴 꽃대를 따라 꽃이 어긋나게 피는 꽃차례)로 피는데 줄기 끝에나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난다. 청자색의 꽃은 작고 꽃자루는 짧고 작으며 털이 있다. 근연식물로는 왕바꽃·지이바꽃·투구꽃·이삭바꽃 등이 있다. 뿌리의 유독성분은 아코니틴(aconitine)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실험에서는 진통·진정 효과가 나타나 있다. 효능은 중풍의 반신불수로 인하여 보행장애가 심하고 마비가 오며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독성을 제거하는 약재와 배합해서 사용하면 큰 효험을 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신경통·하지마비 등의 증상에도 널리 사용된다. 그리고 두통이 심할 때에 진통효과가 있다. 소화기가 차서 늘 설사가 있고 음식을 적게 먹으며 소화력이 감퇴되어 있는 사람에게 사용하면 전신이 더워지면서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독성이 많아서 간장질환 환자는 도리어 피해를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심장병환자도 삼가야 한다. 하복부와 음부가 차며 성욕이 감소하고 식은땀이 흐르며 신장의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남자 환자에게도 유효하다.
사용부위 : 덩이뿌리
효능 : 난비위(暖脾胃), 온명문(溫命門), 거풍제습(祛風除濕), 온경지통(溫經止痛), 회양퇴음(回陽退陰)
주치병증 : 정창(疔瘡), 관절동통(關節疼痛)Z2, 풍한습양(風寒濕痒), 마취지통(麻醉止痛), 심복냉통(心腹冷痛), 파상풍(破傷風), 한산작통(寒疝作痛), 옹저(癰疽), 중풍탄탄(中風癱瘓)
수치법 : 생용(生用) 혹은 제용(製用)한다. 원래는 부자(附子), 오두(烏頭)와 마찬가지로 포제(炮製)하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초오(草烏)에 냉수(冷水)를 가하여 3-5일간 침(浸)한 후에 감두탕(甘豆湯)에 자비(煮沸)하는데, 백심(白心)이 없어질때까지 하여 쇄건(晒乾)하고 사용한다. 초오(草烏)를 생강탕(生薑湯)에 3-4일간 침(浸)한 후에 청증(淸蒸)하고 무화(武火)로 급초(急炒)하여 사용한다. 초오(草烏)에 약 10배의 물을 넣고 10-14시간 자비(煮沸)하여 속의 백심(白心)이 없어질 때까지 실시하며, 이후 문화(文火)로 가열하여 물이 마를 정도로 졸여서 햇볕에 말리거나 홍건(烘乾)한다.
이명 : 오두(烏頭), 초오두(草烏頭), 해독(奚毒), 독공(毒公), 토부자(土附子), 죽절오두(竹節烏頭)
성미 : 대독(大毒), 신고(辛苦), 열(熱)
작용부위 : 간(肝), 비(脾), 신(腎), 심(心)
금기 : 신열(辛熱)로 준열(峻烈)하며 독성(毒性)이 강하므로 생품(生品)을 내복(內服)하여서는 안되며, 허약인(虛弱人), 잉부(孕婦) 및 음허양성(陰虛陽盛)의 경우와 열증(熱證)을 기(忌)하며, 백급패모(白芨貝母), 반하(半夏), 백렴(白蘞), 과루실(瓜蔞實), 서각(犀角) 등을 반(反)한다.
초오를 오두(烏頭)라고 하는 것은 모양이 까마귀 머리와 같다는 말이다. 또한 두 갈래로 나뉘어진 모양이 새 부리와 같아서 서로 잘 맞기 때문에 까마귀 입이란 뜻으로 오훼(烏喙)라고 하였다. 요동(遼東)의 변방 밖에서는 가을이 되면 초오두(草烏頭)의 즙을 내어 햇볕에 말려 독약을 만들어 짐승을 사냥할 때 사용했으므로 사망(射罔)이라고도 했다고 전해진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혀를 마비시키며 맛은 몹시 맵고 쓰며 성질은 뜨겁고 독이 많다.[辛苦熱大毒]

초오는 두통, 복통, 종기, 반신불수, 인사불성, 구안와사에 쓰인다. 풍습증으로 인한 마비증상이나 인사불성, 류머티즘성관절염, 신경통, 요통, 파상풍 등을 치료하며 배가 차가워서 생기는 복통 등에 응용된다. 약리작용으로 진통, 진정, 항염, 국부마비완화 작용이 있으며 다량 복용시 심장운동흥분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원추형으로 위쪽에는 줄기 자국이 남아 있고 바깥 면은 회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쭈그러진 세로주름이 있다. 꺾은 면은 어두운 회색으로 다각형의 고리무늬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질은 단단하다.

다른 이름
토부자(土附子), 간급근(??菫), 경자(耿子), 금아(金鴉), 독공(毒公), 독백초(獨白草초), 사망(射罔), 오두(烏頭), 오훼(烏喙), 원앙국(鴛鴦菊), 죽절오두(竹節烏頭), 해독(奚毒), 초오두(草烏頭) 등이 있다. 
<
이용방안>
정원에 심어 관상한다. 
塊根(괴근)을 草烏頭(초오두)라 하며 약용한다. 
① 가을에 줄기와 잎이 말랐을 때 뿌리를 캐어 남은 줄기, 잎, 흙을 제거하고 햇볕이나 불에 쬐어 말린다. 
②성분 : 草烏(초오)에는 acpmotome. ju[acpmotome, mesaconitine, ceoxyaconitine, deoxyaconitine, beiwutine이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 祛風濕(거풍습), 散寒(산한), 止痛(지통), 開痰豁(개담활),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惡風(악풍-뇌졸중), 咳逆上氣(해역상기), 반신불수, 옹종정독, 大風(대풍)으로 인한 頑痺(완비), 風寒濕痺(풍한습비), 중풍에 의한 사지마비, 파상풍, 돌발적 두통, 胃,腹冷痛(위,복냉통), 痰癖(담벽), 氣塊(기괴-假性 腫塊(가성 종괴)), 冷痢(냉리), 喉痺(후비), 癰疽(옹저), 정창, 나력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 1.5-6g을 달여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로 조합하여 붙이거나 醋(초), 酒(주)와 함께 갈아서 바른다. 
<이용방안>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 Koidz.): 뿌리는 둥글고 뾰족하며 어긋 달리는 잎은 삼각형이다. 한국 특산식물로서 환경부에서 특정 야생식물(식-64호), 산림청의 멸종 위기식물(보존순위33)로 지정한 법정 보호식물이다. 
노랑투구꽃(Aconitum sibiricum Poir.): 연한 황색으로 피는 꽃은 꼿꼿이 선다. 
진범(Aconitum pseudolaeve var. eretum Nakai): 자주색 꽃에는 털이 많다. 
흰진범(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8월에 피는 꽃은 연한 보라색을 띤 흰색이다. 
참줄바꽃(Aconitum neotortuosum Nakai): 꽃은 보라색이고 원추형 뿌리를 약재로 쓴다. 

투구꽃, 초오두(草烏頭)의 쓰이는곳
혈액순환 강심 이뇨 신경통 음위증에 효험 아픔멎이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혈액순환작용, 중풍,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통, 냉증, 음위증을 다스리는 독초 초오(투구꽃)
초오속 식물은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대에 약 2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8종이 있다. 키다리바꽃, 지리바꽃, 선덩굴바꽃, 왕바꽃, 흰왕바꽃, 투구꽃, 노랑돌쩌귀, 이삭바꽃, 각시투구꽃, 한라돌쩌귀, 흰한라돌쩌귀, 참줄바꽃, 싹눈바꽃, 개싹눈바꽃, 세뿔투구꽃, 진돌쩌귀, 노랑투구꽃, 세잎돌쩌귀, 그늘돌쩌귀, 흰그늘돌쩌귀, 선투구꽃, 가는돌쩌귀, 가는줄돌쩌귀, 진교, 흰진교, 줄오독도기(줄바꽃)등이 초오속에 속한다. 
맹독성의 약재로 잘못사용하면 생명을 잃을 수 있음으로 함부로 손을 대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초오에 관해서 북한의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초오(草烏) //바꽃, 준오(準烏)// [본초]
바구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이삭바꽃(Aconitum kusnezovil Reich.)과 세잎돌쩌귀(Aconitum triphyllum Nakai), 키다리바꽃(Aconitum arcuatum Maxim.)등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이삭바꽃, 세잎돌쩌귀는 각지의 산에서 자라고 키다리바꽃은 북부의 산에서 자란다. 
가을 또는 봄에 덩이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십이경맥(十二經脈)에 다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통증을 멈춘다. 풍한습비증, 중풍으로 다리를 쓰지 못하는 데, 파상풍, 배가 차고 아픈 데, 류머티즘성관절염, 신경통 등에 쓴다. 하루 2~4그램(법제한 것)을 탕약, 환약, 산제,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법제하지 않은 것을 가루내서 기초제에 개어 붙이거나 식초나 술에 불려 갈아서 바른다. 허약한 사람과 열증으로 아픈 데는 쓰지 않는다. 반하, 과루인, 패모, 백렴, 백급 등과 배합금기이다.] 
독성이 있는 비슷한 식물로는 아래와 같은 종류들이 있다.
1,아물바꽃(Aconitum amurense Nakai(A. volubire Pall et Koelle): 진통작용
2, 키다리바꽃(Aconitum arcuatum Maxm.): 두통, 류마티즘, 척수신경근염, 신경통
3, 부자(Aconitum carmichaeli Debx.): 강심, 이뇨, 관절통, 마비, 풍습통, 요통, 한냉설사, 항온작용
4, 왕바꽃(Aconitum Fischeri Reichb.): 진통, 진경, 마취, 궤양, 류마티즘, 통풍, 매독, 암, 감기, 신경통, 늑막염, 각기, 당뇨병, 다발성 관절염, 심장 및 핏줄계통이 질병, 위병, 구풍, 구충약, 이뇨
5, 바꽃(Aconitum jaluense Komarov.):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즘, 척수신경근염, 진통
6, 노랑돌쩌귀(Aconitum koreanum Raym.{A. komarovii Steinb}): 진통, 강심, 이뇨, 혈액순환촉진, 관절통, 관절염, 각기, 냉병, 배아픔, 음위증, 신경통, 편두통, 류마티스성 질병
7, 이삭바꽃(Aconitum kusnezovii Reich.):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즘, 척수신경근염, 진통
8, 세잎돌쩌귀(Aconitum triphyllum Nakai):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즘, 척수신경근염, 진통
9, 넓은잎오독도기(Aconitum sczukinii Tucz.):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즘, 척수신경근염, 진통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264-269에서는 이렇게 부자, 초오에 관해서 기록하고 있다. 
[미나리아재비과는 45속 1,500종의 식물이 온대와 한대에 퍼져있다. 우리나라에는 20속 120종, 40변종이 자란다. 
부자(Aconitum carmichaeli Debx.)
높이 1미터에 이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손 바닥처럼 갈라진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가색을 띤 하늘색의 투구 모양의 꽃이 핀다. 뿌리는 원추형의 덩이(엄지뿌리)인데 해마다 원추형 곁뿌리(새끼뿌리)가 생시고 엄지뿌리는 1~2년 지나서 죽는다. 엄지뿌리를 오두(천오)라 하고 새끼 뿌리를 부자(천부자)라고 한다. 크기에 따라 큰 것을 천웅, 작은 것을 누람자, 아주 작은 것을 양두첨, 부자에서 생겨난 곁뿌리를 측자라고 한다. 지금은 이렇게 까지 구별하지 않는다. 식물의 자라는 시기에 따라 뿌리의 크기와 모양을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부자는 겨울철에 새끼뿌리가 엄지뿌리에서 갈라진 것이고, 오두는 새로 자란 엄지뿌리에서 잎과 줄기가 돋아나고 작은 새끼 뿌리가 생겼을 때의 뿌리이다. 천웅은 부자와 오두의 중간, 즉 이른여름 줄기가 돋아났을 때에 새로 생긴 엄지뿌리이다. 측자는 여름과 가을에 엄지뿌리에 생긴 어린 새끼뿌리이다. 중국의 중부 원산으로, 중부와 남부에서 심는다. 

뿌리는 가공 방법에 따라 이름을 달리한다. 
1) 염부자: 부자를 소금 40퍼센트와 서슬 60퍼센트 혼합액에 며칠 동안 담갔다가 꺼내서 절반 정도 말린 다음 다시 담갔다가 꺼내서 말리기를 여러 번 반복하여 겉면에 소금 결정이 돋게 한 것이다. 
2) 흑순편(숙부편, 순흑편): 부자를 서슬 4에 물 3에 며칠 동안 담갔다가 잠깐 끓여서 꺼낸 다음 사탕과 기름으로 밤색을 띠게 가공한 것이다. 
3) 백부편: 흑순편과 같으나 색을 내지 않고 겉껍질을 벗겨 희게 한 것이다. 때로 유황으로 표백하기도 한다. 
4) 포부자: 위와 같이 가공한 것을 모두 포부자라고 하거나 또는 찐 다음 겉껍질을 벗기고 두 조각 낸 것을 의미할 때도 있다.

주의사항
중독증상으로 마비는 처음 입 안과 손발에 오고 차츰 심장과 연수에 미쳐 호흡이 떨어진다. 호흡중추마비, 심전도장애, 순환기마비, 지각 및 운동신경마비로 간대성, 강직성 경련, 토하기, 동공을 확대시킨다. 심하면 허탈에 빠지고 손발이 차지면서 혼수에 이른다. 심하면 사망할 수 있다.



[초오], 바꽃(Aconitum jaluense Komarov.)
투구꽃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60~9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3개로 깊이 갈라졌고 가장자리에 성긴 톱니가 있다. 줄기 윗부분에 희거나 하늘색의 투구 모양의 꽃이 핀다. 씨앗집은 털이 있고 3개로 갈라진다. 북부와 중부의 산기슭, 떨기나무 사이에서 자란다.
뿌리(초오): 봄 또는 가을에 캐어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우리나라에는 바곳속 식물이 약 30종 자라는데 동약 초오로 생산되는 것은 투구꽃과 이삭바곳, 세잎돌쩌귀이다. 이 식물들은 생긴 모양이 비슷하고 널리 자라므로 함께 생산된다. 이 밖에도 다른 종류가 섞일 수 있으나 생긴 모양이 크게 다르고 자라는 곳이 제한되어 있다.
투구꽃 법제 방법은 혀끝에 마비감이 없어질 때까지 소금물에 담가 독성을 우려낸다. 이것을 감초, 검은콩(뿌리의 10퍼센트)과 함께 삶아서 말린 다음 가루낸다. 또는 증기로 6~8시간 찌거나 소금물 15~30일 담갔다가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많은 나라에서는 사냥할 때 투구꽃 액기스를 활촉과 창에 바르는 독약으로 썼다. 뿌리를 물에 찌거나 소금물에 오래 담가두면 독성이 약해진다. 생뿌리를 그대로 말린 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일부 외용약을 만들어 신경통에 바르기도 한다.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에서는 부자, 천오, 바꽃, 흰 바꽃을 이렇게 적고 있다. 
부자는 맛이 맵고 성질은 매우더워 약효 잘 퍼진다오. 궐역증을 낫게하고 양기회복 잘시키니 급히 쓸 약이라네 부자는 독이 세다. 오두, 오훼, 천웅, 부자, 측자 등은 모두 한 종류이다. 수소음경, 명문, 삼초에 주로 작용하는 약이다. 생것을 쓰면 여러 가지 약을 이끌어서 경맥으로 돌아가게 한다. 밀가루반죽에 싸서 재불에 묻어 구워서 껍질과 배꼽을 버린 다음 썰어서 동변에 담갔다가 닦아서 말리여 쓴다. 건강과 같이 쓰지 않으면 덥게 하지 못하며 생각과 같이 쓰면 발산시키는데 이것은 열로 열을 치는 것이다. 또 허열을 인도하여 열을 없앤다. 왕지네와 상오약이고 방풍, 검정콩, 감초, 인삼, 단너삼, 무소뿔, 오해와는 상외약이다. 약전국푼물, 대추살, 엿을 금한다. 새로 길어온 우물물은 부자의 독을 푼다. 동변에 5이동안 담갔다가 썰어서 껍질과 배꼽을 떼어버리고 찬물에 또 3일 동안 담갔다가 검정콩, 감초와 같이 익도록 끓인다. 그다음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쓴다. 비유해서 말하면 인삼과 찐지황은 좋은 세상에서의 어진 재상이고 부자와 대황은 어지러운 세상에서의 날랜 장수라고 하였다.

<천오(오두)성질 몹시 더워 골풍 습비 낫게 하네. 차서 나는 아픔증을 썩잘 멎게 할뿐더러 적취를 헤치는 효과 또한 있다더라.> 법제하는 방법은 부자와 같다. 소금을 넣어 쓰면 효과가 더욱 빠르다."

<바꽃(초오)은 성질 덥고 독이 또한 있다더라. 종독과 풍한습비 모두 다 낫게 하네.> 동변에 담갔다가 닦아서 참대칼로 썰거나 검정콩과 함께 삶아서 쓴다. 바꽃즙을 사망이라 하는데 약효와 쓰는법은 바꽃과 같다. 
<흰 바꽃(백부자, 노란돌쩌귀)맵고 따스해 혈비 풍창 낫게 하고 얼굴병과 중풍증을 두루 치료하더라.> 양명경에 작용한다. 싸서 구워서 쓴다. 다른 약기운을 위로 올라가게 인도한다.]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에서는 부자를 포하는 방법을 이렇게 적고 있다. 
[부자를 동변(12살 아래 남자 어린이의 오줌)에 4일간 담갔다가 껍질과 꼭지부분을 긁어버리고 찬물에 3일간 담근다. 이것을 꺼내어 검정콩과 감초를 함께 잘 익도록 달여서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외하는 법 즉 싸서 굽는법'은 위의 방법과 같이 동변이나 찬물에 담근다. 이렇게 한 부자를 썰어 한겹 놓고 그 위에 생강을 쪼개서 한겹 놓는 방법으로 엇 바꾸어 겹겹이 쌓는다. 이것을 밀까루반죽으로 싸서 약한 불에 묻어 구운 다음 꺼내어 위의 방법대로 말린다. 오두(천오)를 포하는 방법도 이와 같다.] 이 지구상의 식물 가운데는 대부분이 식용이 가능하고 독이 없는 안전한 식물들이다. 하지만 맹독성을 가지고 있는 독초들이 약 5~10% 존재한다. 독초를 잘 알고 독을 해독하는 방법과 법제를 통해서 독성을 완화시키거나 낮추어 잘 활용만 한다면 질병 치료에 큰 효험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 여지도서, 한국식물도감(정태현, 신지사, 1964),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編, 上海科技出版社, 1979), 향약채취월령(안덕균 주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약초연구가 정동명, 황도연이 쓴 <방약합편>, 동의보감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