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신청하기

  • 통영옻칠(漆, Lacquer)(통영칠기)

    통영 옻칠(漆, Lacquer), (통영 칠기)  우리나라에서 옻칠한 기물의 흔적은 B.C 3세기경부터이며, 전통천연도료로 낙랑칠기로부터 시작된다. 1931년 발굴된 낙랑고분에서 ‘칠반명문’이 출토되었으며 신라와 고려 나전칠기 등으로 이어져왔다. 삼국시대에는 고분에서 다양한 종류의 칠기가 발견된 바 있다. 신라에서는 칠전(漆典)이란 관서가 있었고, 고려시대에는 중상서(中尙署)와 군기감(軍器監)에 칠장이 배속되어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경공장(京工匠)과 외공장(外工匠)에 칠장이 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풍의 공예가 들어와 우리 전통공예기술이 끊겨버릴 위기에 있었으며 광복이후 캐슈(Cashew)라는 값싼 대용 칠의 등장으로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칠기는 퇴보를 거듭하였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다행히 기능보유자 신중현(申重鉉)은 그의 매형인 홍순태(洪舜泰)에게 전수 받아 옻칠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옻나무 표피에 상처를 내면 상처로부터 유회백색의 유액상 수지가 나온다. 이것을 생칠이라 한다. 칠액의 주성분은 우루시올이며, 기타 수분과 소량의 고무질 및 함질소물(含窒素物)을 함유하고 있으며, 조성은 산지에 따라 다르다. 생칠을 그대로 도료로서 칠하면 광택이 나쁘고 또한 산화효소 라카아제(laccase)의 작용으로 건조가 너무 빠르므로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가공할 필요가 있다. 채취 직후의 칠은 공기에 접하면 흑색을 나타낸다. 장시간 저장하면 수분과 고무질은 가라앉게 되어 칠이 상층에 모인다. 생칠은 용기 내에서 상온(常溫)으로 휘저어 섞은 후 38∼45 ℃로 수시간 보존하면 빛깔이 검게 변한다. 이 공정을 소흑목(素黑目)이라고 하며, 공정 중의 주반응은 산화와 탈수라고 생각된다. 이 밖에 기름을 가하든지 안료를 첨가하여 정칠(精漆)이라는 최종제품을 얻게 된다.   진상품관련근거옻[漆]은 강원도(간성군, 금성현, 금화현, 낭천현, 삼척도호부, 안협현, 울진현, 이천현, 인제현, 정선군, 철원도호부, 춘천도호부, 평강현, 평창군, 홍천현, 회양도호부, 횡성현, 흡곡현) 경상도(榮川郡, 永川郡, 거제현, 경주부, 군위현, 대구도호부, 밀양도호부, 비안현, 선산도호부, 성주목, 신녕현, 예안현, 의령현, 의성현, 의흥현, 진주목, 창원도호부, 청송도호부, 초계군, 칠원현, 함안군) 전라도(전주부, 고산현, 금구현, 장흥도호부, 담양도호부, 용담현, 임실현, 진안현, 창평현, 광양현, 동복현) 충청도(괴산군, 단양군, 덕산현, 온양군, 정산현, 한산군, 홍산현, 진천군) 평안도(가산군, 박천군, 벽동군, 삼화현, 성천도호부, 순천군, 영유현, 용강현, 은산현, 증산현, 철산군, 태천현, 희천군) 함경도(명천현, 북청도호부, 이성현) 황해도(서흥도호부, 송화현, 토산현, 풍천도호부)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남칠(藍漆), 생칠(生漆), 옻(漆)  건칠(乾漆) 등을 진상한 기록이 있다.    옻나무의 특성 옻나무는 낙엽교목으로 학명은 Rhus Verniciflua Stokes이며 한국, 중국, 일본, 미얀마, 베트남에서 생산된다. 높이는 12m, 지름 40cm까지 크며 우리나라의 원주(原州), 합천, 지리산 등지에서 산출되며, 북한지방에는 평북 태천칠(泰川漆)이 유명하다.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편이며, 높이는 10m 내외이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두꺼우며 껍질눈이 많다. 잎은 길이 20-40cm이고 7-19장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홀수깃꼴 겹잎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표면에 광택이 난다. 5-6월쯤에 잎겨드랑이에서 황록색의 작은 꽃이 송이 모양으로 핀다. 꽃잎·꽃받침 모두 5장이며 암수딴그루이다. 암꽃에는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 암술이 있고. 수꽃에는 5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일그러진 구형이고 길이 약 7㎜이며 백황색으로 광택이 난다. 재배 후 수년이 지나야 열린다.   옻칠은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예로부터 옻나무에서 나오는 수액(樹液)을 추출하여 금속이나 목공 도장(木工塗裝)시 마무리 공정으로 칠을 하는 가장 소중히 여겨왔던 도료이다. 최근에는 생산량이 적고 비싸기 때문에 주로 미술공예품 등의 용도에 사용된다. 도막(塗膜)의 경도, 부착성, 광택 등이 뛰어나지만 담색(淡色)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페인트 및 에나멜 등에 비하여 깊이가 있고 무게 있는 예술적 감각 때문에 많이 쓰인다. 이 밖에 높은 전기저항과 내열성을 이용하여 전기절연도료, 내산도료에도 간혹 사용된다. 특히 옻칠이 손이나 얼굴에 닿으면 우루시올의 작용으로 옻이 오른다. 피부에 닿은 옻칠은 식용유를 이용하여 닦아내고 식용유는 온수와 비누로 잘 씻는다.   옻칠의 종류 생칠(生漆) : 하지용(下地用)으로 사용 투칠(透漆) : 상도용(上塗用)으로 사용 채칠(彩漆) : 투칠과 안료(顔料)를 가함 흑칠(黑漆) : 투칠에 철분을 가함 화칠(火漆) : 옻나무에 불을 가함 정제칠(精製漆) : 생칠을 화학적으로 처리   생칠의 성분과 재료 옻나무 줄기에서 옻을 직접 채취한 것을 생칠이라고 한다. 생칠을 채취하는 나무는 주로 6년생 이상 된 것으로 줄기 및 가지로부터 수지를 뽑은 것이다. 그리고 이 생칠을 여과 또는 정제 가공하여 도료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정제철이라고 한다. 그리고 생칠을 채취한 나무를 불에 삶아서 낸 옻을 화칠이라고 하는데, 생칠에 비해 질이 떨어진다고 한다.   1. 생칠의 성분 처음에 옻나무로부터 얻은 생옻은 회백색의 유상액이며 단맛과 떫은맛이 나고 공기와 접촉하면 갈색으로 변하면서 짙어지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생옻의 주성분은 옻산이며 옻산의 특징은 약한 산성으로서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옻산이 여러가지 화학 반응에 의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주성분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 성분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생칠의 우수함이 결정된다고 한다. 다음으로 생칠의 성분을 이루는 것으로는 물에 녹는 고무질(단맛이 나는 여러가지 화학물질)과 락카제(효소)라는 효소들인데 옻칠에서는 이 두 물질이 각각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고무질은 칠을 한 뒤 건조 과정에서 옻칠 도막의 내구성에 큰 구실을 하며, 또 하나의 성분인 수용성 락카제는 옻산을 산화시켜 화합물을 만들어 내어서 도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중요한 촉매로 작용한다. 이 수용성 성분들의 함유량은 5~8% 정도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 외 당단백(함질소 물질로서 떫은 맛임)은 일종의 단백질 성분으로 반수성(물을 싫어하는 성질)과 친수성(물을 좋아하는 성질)을 다 가지고 있어서 수분이 많을 때(약6~8% 정도까지)는 반수성이나 수분이 적을 때는 친수성으로 변하여 옻칠의 도막 형성 과정에서 접착력과 견고성을 높여 주는 구실을 한다. 그 함유량은 2~5% 정도가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생칠의 성분으로 수분이 있다. 옻나무 수액에 함유된 수분의 양 은 약 25~30% 정도가 일반적이다. 이 성분은 도막의 건조 시 없어서는 안될 성분인데, 너무 많으면 건조 성능과 도막의 피막을 형성하는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   2, 생칠의 성분 분포 • 옻산 60~65% • 고무질(다당류로 단맛을 냄) 5~8% • 당단백(단백질 성분으로 떫은 맛) 2~5% • 수분 20~30%   3. 생칠의 종류 초칠(첫내기 칠) : 초칠은 대략 6월 중순경에서 7월 중순경에 채집된 생옻을 말하는데, 수분이 많고 옻산이 적게 함유되어 있어서 칠이 건조되고 나면 검은 갈색을 띠게 되고 농도가 약하기 때문에 밑칠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성칠 : 성칠은 일반적으로 7월 하순부터 8월말 경에 채집되는 옻을 말하는데, 수분이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데다가 옻산의 함유량이 70% 이상이 되기 때문에 칠이 건조되고 나서도 맑은 다갈색을 띠면서 광택이 좋다. 따라서 성칠은 상칠 정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말칠 : 말칠은 9월 초순에서 9월말까지 정도에 채집된 옻을 말한다. 옻산의 함유량이 성칠보다는 조금 떨어지나 수분이 초칠보다는 적기 때문에 중칠에 많이 사용된다. 건조되고 나면 다갈색을 띠게 되나 투명도는 성칠보다 못한 편이기 때문에 고래바르기에 많이 사용된다.   그 외 수간(樹幹)에서 뽑지 않고 가지에서 뽑은 가지칠과 불로 끓여서 낸 화칠 등이 있으나 칠의 성분이 생칠만 못하기 때문에 좋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생칠의 성질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옻은 그 자체가 피막을 형성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수역인 옻액을 그대로 칠로 사용할 수 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생칠을 그대로 작품에 칠하게 되면 육안으로는 매끄러운 것처럼 보여도 균일한 도막이 형성되지 않아서 꺼끌꺼끌한 표면을 이루게 되어 작품을 망치게 된다. 또한 이 약은 수분이 고르게 섞여 있지 않게 때문에 그냥 사용할 경우 물방울 같은 것이 형성되어 있다가 도막을 형성하여 칠을 하고 난 후 그것이 마른 뒤에 보면 물방울이 있던 자리는 빈 구멍으로 남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처음에는 아주 미세한 공간으로 보일지 모르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흉터로 되어서 칠이 벗겨지는 원인이 되면 표면에 요철을 만들게 된다. 생칠 안에 있는 여러 성분들이 잘 섞이지 않으면 도막을 형성하여 말린 후에도 변색되기도 한다. 누런 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을 칠이 탄다고 한다. 또한 조금만 도막이 두텁게 형성되어도 겉과 안의 건조 속도가 달라서 칠 표면에 주름이 생기게 되는 원인으로 되기도 한다. 이것을 칠이 울었다고 한다. 그리고 칠하는 데 있어서 농도가 너무 늦으면 칠이 표면에서 너무 쉽게 흘러내려서 칠하기가 어렵게 되고, 반대로 농도가 너무 높으면 두껍게 발리게 되어 붓자국이 남게 되어 좋은 작품을 만들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개선하여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생칠을 정제하게 되는데, 정제 과정에서 여러 가지 첨가물을 넣어 광택이 나도록하기도 하고, 붉은 가루를 넣어서 착색하여 여러 용도로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정제가 잘 되면 칠살 올리기가 쉬워져서 좋은 작품을 만드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생칠의 정제 방법 나무에서 추출한 생칠은 그대로 사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생칠을 정제한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거친 생칠에 섞여 있는 여러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한 옻칠을 만드는 것인데, 이렇게 정제한 생칠을 정제생칠(옻액)이라고 한다. 다른 하나는 생칠을 저어서 이겨서(칠고르기) 생칠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열로서 증발시켜 그 본래의 성질을 개량하고 용도에 맞게 상태를 향상 시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친 칠을 정제옻칠 혹은 옻칠이라고 한다. 생칠에는 여러 성분의 다른 물질들이 섞여 있기 때문에 이를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여 칠이 골고루 칠해지도록 하는 기능과 주성분인 옻산이 락카제와 골고루 반응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정제의 가장 주요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공정과정 1. 사포칠 : 목기의 바탕인 백골(白骨)을 사포(砂布)로 문지르는데, 거친데를 매끈하게 하는 작업으로 이 작업을 바탕 바로잡기라 한다. 2. 생칠 바르기 : 백골에 귀얄(돼지털솔) 생칠을 얇게 발라서 칠장에 넣어 건조시키는데, 이름 말칠(末漆) · 초칠(初漆) · 바탕칠이라 한다. 이 공정에 생칠이 나무에 스며들며 흠집도 메워진다. 3. 틀메임 : 톱밥, 밥풀, 생칠을 섞어 틈이 난 곳을 메운다. 혼합비율은 생칠 45% 톱밥 40% 밥풀 15%이다. 4. 베 바르기 나무가 터지거나 뒤틀어지지 않게 베를 바르는 일로 생칠과 쌀풀을 섞는데 비율은 55%와 45%이며 쓰이는 도구는 칠주걱이라 한다. 5. 고태 바르기 : 황토를 불에 구워낸 다음 물에 띄워 가루를 내고, 황토가루와 생칠과 풀을 배합해서 베바르기 한 위에 발라서 베의 틈을 메운 다음 평평하게 바른다. 배합률은 45 : 50: 5 이며, 은행나무 칠주걱을 쓴다. 6. 숫돌 갈기 : 고태 바르기를 마치면 물을 주면서 숫돌로 바닥을 갈아 평평하게 한다. 7. 자개붙임(또는 자개지짐) : 자개(주로 제주산 전복껍질)를 도안에 얹어 실톱으로 오려 종이에 붙여놓은 것을 아교칠을 하여 인두로 지져 붙인다. 8. 아교빼기(또는 풀빼기) : 자개 밖으로 묻어난 아교를 닦아내는데, 물을 90~ 100도로 끓여 문질러낸다. 9. 생칠 바르기 : 자개를 붙인 곳에 생칠을 발라 말리면 단단히 붙고 오래 간다. 10. 고태 바르기(또는 토분바르기) : 황토를 물에 풀어서 정제한 가루인 토분과 생칠, 물을 혼합하여 자개붙임 바탕에 두 차례 바른다. 토분, 생칠, 물의 비율은 40 : 50 : 10 이다. 11. 숫돌 갈기 : 토분을 바른 뒤에 숫돌로 물을 주어가면서 부드럽게 간다. 지나치게 갈면 자개가 닳아 없어지고 바탕이 패이게 된다. 12. 중칠(中漆)바르기 : 토분을 재얹어 갈아 놓은 곳을 중칠을 발라 칠장에 넣어 하룻밤을 재워 말린다. 13. 숯으로 갈기 : 중칠의 건조된 표면을 숯으로 간다. 숯으로 은행나무를 특수하게 열처리한 것이 좋다. 14. 오칠(五漆)바르기 : 중칠한 위에 질 좋은 상칠(上漆)을 발라 마지막 칠을 한다. 옻칠은 단번에 두껍게 바르지 못하며 여러번 거듭 두껍게 할수록 좋다. 15. 숯으로 갈기 : 자개 위에 상칠을 바른 경우 자개등 위의 칠을 긁어낸 다음 숯으로 생칠을 한 두께의 1/4정도 갈아서 바닥을 곱게 한다. 16. 초광내기 : 치분(齒粉, 가루치약)과 콩기름을 섞어서 숯으로 갈아 솜에 찍어 바닥을 문지른 다음 콩기름만을 솜에 찍어 문지르면 고운 윤이 난다. 17. 재광내기 삼광내기 : 마지막 광내기로 생칠 중 좋은 칠을 정하게 해서 광을 낸 위에 솜으로 골고루 문지른 다음 칠장에 넣어서 2~3시간 말린 후 치분을 발라 기름기를 빼내고 솜으로 곱게 닦은 다음 부드러운 종이로 포장한다.   이와 같은 옻칠은 자개로 장식하는 그릇 뿐만 아니라 갓이나 소반 쟁반 등 목기와 장죽(長竹),  죽기(竹器), 지기(紙器)를 비롯한 기타 일용 도구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생옻칠장(生옻漆匠) 신중현(申重鉉) 생칠 기능보유자 지정대상자인 신중현(申重鉉)은 경기도 포천 태생이나 1941년에 서울에 올라와 매형 홍순태(洪舜泰. 1994년 卒)와 같이 살게 되었으며, 1951년 칠정제장 홍순태의 문하에서 견습공으로 일하게 되었다. 그 후 홍순태가 '대한 공예원'(대표 장승환)에서 공장장을 할 때 본격적인 칠기공으로 일을 하게 되었다. 홍순태는 11세 되던 해, 이왕가 미술공방에서 이원구 선생으로부터 사사 받기 시작하여 이후 1928년부터 1937년까지 조기준 선생, 1938년부터 빙견(일본인)선생 등으로부터 사사 받았다.   신중현은 1955년에는 김진갑이 경영하는 '신성공예사'에서 칠장 일을 배웠고, 군복무를 필한 뒤에는 다시 홍순태의 작업장에서 작업을 돕다가 그 후, 서울 왕십리에 홍순태와 공동으로 공장을 설립하여 공장장으로 일하였다.   그는 1988년 서울 신림동 난곡사 오존불 생칠 조성과 경남 합천군 해인사 대적광전 칠존불 보수, 1992년 경북문경군 가은면 봉암사 법당 본존불 및 후불목탱화의 생칠 완성, 1993년 충남 공주군 마곡사 천불상 생칠 보수, 1995년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 문수동자상(국보221호) 생칠 보수 등 많은 문화재 보수 등에 참여한 실적이 있다. 신중현은 1989년 생옻칠장 기능보유자로 지정 되었다.   참고문헌 및 출처 서울무형문화재기능보존회 / http://www.seoulmaster.co.kr/ ,지역정보포털 / http://www.oneclick.or.kr/,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한국콘텐츠진흥원  

  • 영주옻칠(영주칠기),남칠(藍漆), 생칠(生漆), 옻(漆) 건칠(乾漆) , 낙랑칠기, 옻(漆) 건칠(乾漆)

    영주 옻칠(漆, Lacquer) (영주 칠기) 옻나무 표피에 상처를 내면 상처로부터 유회백색의 유액상 수지가 나온다. 이것을 생칠이라 한다. 칠액의 주성분은 우루시올이며, 기타 수분과 소량의 고무질 및 함질소물(含窒素物)을 함유하고 있으며, 조성은 산지에 따라 다르다. 생칠을 그대로 도료로서 칠하면 광택이 나쁘고 또한 산화효소 라카아제(laccase)의 작용으로 건조가 너무 빠르므로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가공할 필요가 있다. 채취 직후의 칠은 공기에 접하면 흑색을 나타낸다. 장시간 저장하면 수분과 고무질은 가라앉게 되어 칠이 상층에 모인다. 생칠은 용기 내에서 상온(常溫)으로 휘저어 섞은 후 38∼45 ℃로 수시간 보존하면 빛깔이 검게 변한다. 이 공정을 소흑목(素黑目)이라고 하며, 공정 중의 주반응은 산화와 탈수라고 생각된다. 이 밖에 기름을 가하든지 안료를 첨가하여 정칠(精漆)이라는 최종제품을 얻게 된다.   옻칠은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예로부터 옻나무에서 나오는 수액(樹液)을 추출하여 금속이나 목공 도장(木工塗裝)시 마무리 공정으로 칠을 하는 가장 소중히 여겨왔던 도료이다. 최근에는 생산량이 적고 비싸기 때문에 주로 미술공예품 등의 용도에 사용된다. 도막(塗膜)의 경도, 부착성, 광택 등이 뛰어나지만 담색(淡色)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페인트 및 에나멜 등에 비하여 깊이가 있고 무게 있는 예술적 감각 때문에 많이 쓰인다. 이 밖에 높은 전기저항과 내열성을 이용하여 전기절연도료, 내산도료에도 간혹 사용된다. 특히 옻칠이 손이나 얼굴에 닿으면 우루시올의 작용으로 옻이 오른다. 피부에 닿은 옻칠은 식용유를 이용하여 닦아내고 식용유는 온수와 비누로 잘 씻는다.   진상품관련근거옻[漆]은 강원도(간성군, 금성현, 금화현, 낭천현, 삼척도호부, 안협현, 울진현, 이천현, 인제현, 정선군, 철원도호부, 춘천도호부, 평강현, 평창군, 홍천현, 회양도호부, 횡성현, 흡곡현) 경상도(榮川郡, 永川郡, 거제현, 경주부, 군위현, 대구도호부, 밀양도호부, 비안현, 선산도호부, 성주목, 신녕현, 예안현, 의령현, 의성현, 의흥현, 진주목, 창원도호부, 청송도호부, 초계군, 칠원현, 함안군) 전라도(전주부, 고산현, 금구현, 장흥도호부, 담양도호부, 용담현, 임실현, 진안현, 창평현, 광양현, 동복현) 충청도(괴산군, 단양군, 덕산현, 온양군, 정산현, 한산군, 홍산현, 진천군) 평안도(가산군, 박천군, 벽동군, 삼화현, 성천도호부, 순천군, 영유현, 용강현, 은산현, 증산현, 철산군, 태천현, 희천군) 함경도(명천현, 북청도호부, 이성현) 황해도(서흥도호부, 송화현, 토산현, 풍천도호부)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남칠(藍漆), 생칠(生漆), 옻(漆)  건칠(乾漆) 등을 진상한 기록이 있다.    옻칠의 유래  우리나라에서 옻칠한 기물의 흔적은 B.C 3세기경부터이며, 전통천연도료로 낙랑칠기로부터 시작된다. 1931년 발굴된 낙랑고분에서 ‘칠반명문’이 출토되었으며 신라와 고려 나전칠기 등으로 이어져왔다. 삼국시대에는 고분에서 다양한 종류의 칠기가 발견된 바 있다. 신라에서는 칠전(漆典)이란 관서가 있었고, 고려시대에는 중상서(中尙署)와 군기감(軍器監)에 칠장이 배속되어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경공장(京工匠)과 외공장(外工匠)에 칠장이 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풍의 공예가 들어와 우리 전통공예기술이 끊겨버릴 위기에 있었으며 광복이후 캐슈(Cashew)라는 값싼 대용 칠의 등장으로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칠기는 퇴보를 거듭하였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다행히 기능보유자 신중현(申重鉉)은 그의 매형인 홍순태(洪舜泰)에게 전수 받아 옻칠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진상품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남칠(藍漆), 생칠(生漆), 옻(漆)  건칠(乾漆) 등을 진상한 기록이 있다.   옻나무의 특성  옻나무는 낙엽교목으로 학명은 Rhus Verniciflua Stokes이며 한국, 중국, 일본, 미얀마, 베트남에서 생산된다. 높이는 12m, 지름 40cm까지 크며 우리나라의 원주(原州), 합천, 지리산 등지에서 산출되며, 북한지방에는 평북 태천칠(泰川漆)이 유명하다.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편이며, 높이는 10m 내외이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두꺼우며 껍질눈이 많다. 잎은 길이 20-40cm이고 7-19장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홀수깃꼴 겹잎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표면에 광택이 난다. 5-6월쯤에 잎겨드랑이에서 황록색의 작은 꽃이 송이 모양으로 핀다. 꽃잎·꽃받침 모두 5장이며 암수딴그루이다. 암꽃에는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 암술이 있고. 수꽃에는 5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일그러진 구형이고 길이 약 7㎜이며 백황색으로 광택이 난다. 재배 후 수년이 지나야 열린다.   옻칠의 종류  생칠(生漆) : 하지용(下地用)으로 사용  투칠(透漆) : 상도용(上塗用)으로 사용  채칠(彩漆) : 투칠과 안료(顔料)를 가함  흑칠(黑漆) : 투칠에 철분을 가함  화칠(火漆) : 옻나무에 불을 가함  정제칠(精製漆) : 생칠을 화학적으로 처리    생칠의 성분과 재료  옻나무 줄기에서 옻을 직접 채취한 것을 생칠이라고 한다. 생칠을 채취하는 나무는 주로 6년생 이상 된 것으로 줄기 및 가지로부터 수지를 뽑은 것이다. 그리고 이 생칠을 여과 또는 정제 가공하여 도료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정제철이라고 한다. 그리고 생칠을 채취한 나무를 불에 삶아서 낸 옻을 화칠이라고 하는데, 생칠에 비해 질이 떨어진다고 한다.   1. 생칠의 성분  처음에 옻나무로부터 얻은 생옻은 회백색의 유상액이며 단맛과 떫은맛이 나고 공기와 접촉하면 갈색으로 변하면서 짙어지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생옻의 주성분은 옻산이며 옻산의 특징은 약한 산성으로서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옻산이 여러가지 화학 반응에 의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주성분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 성분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생칠의 우수함이 결정된다고 한다. 다음으로 생칠의 성분을 이루는 것으로는 물에 녹는 고무질(단맛이 나는 여러가지 화학물질)과 락카제(효소)라는 효소들인데 옻칠에서는 이 두 물질이 각각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고무질은 칠을 한 뒤 건조 과정에서 옻칠 도막의 내구성에 큰 구실을 하며, 또 하나의 성분인 수용성 락카제는 옻산을 산화시켜 화합물을 만들어 내어서 도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중요한 촉매로 작용한다. 이 수용성 성분들의 함유량은 5~8% 정도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 외 당단백(함질소 물질로서 떫은 맛임)은 일종의 단백질 성분으로 반수성(물을 싫어하는 성질)과 친수성(물을 좋아하는 성질)을 다 가지고 있어서 수분이 많을 때(약6~8% 정도까지)는 반수성이나 수분이 적을 때는 친수성으로 변하여 옻칠의 도막 형성 과정에서 접착력과 견고성을 높여 주는 구실을 한다. 그 함유량은 2~5% 정도가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생칠의 성분으로 수분이 있다. 옻나무 수액에 함유된 수분의 양 은 약 25~30% 정도가 일반적이다. 이 성분은 도막의 건조 시 없어서는 안될 성분인데, 너무 많으면 건조 성능과 도막의 피막을 형성하는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   2, 생칠의 성분 분포  • 옻산 60~65% • 고무질(다당류로 단맛을 냄) 5~8% • 당단백(단백질 성분으로 떫은 맛) 2~5% • 수분 20~30%   3. 생칠의 종류  초칠(첫내기 칠) : 초칠은 대략 6월 중순경에서 7월 중순경에 채집된 생옻을 말하는데, 수분이 많고 옻산이 적게 함유되어 있어서 칠이 건조되고 나면 검은 갈색을 띠게 되고 농도가 약하기 때문에 밑칠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성칠 : 성칠은 일반적으로 7월 하순부터 8월말 경에 채집되는 옻을 말하는데, 수분이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데다가 옻산의 함유량이 70% 이상이 되기 때문에 칠이 건조되고 나서도 맑은 다갈색을 띠면서 광택이 좋다. 따라서 성칠은 상칠 정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말칠 : 말칠은 9월 초순에서 9월말까지 정도에 채집된 옻을 말한다. 옻산의 함유량이 성칠보다는 조금 떨어지나 수분이 초칠보다는 적기 때문에 중칠에 많이 사용된다. 건조되고 나면 다갈색을 띠게 되나 투명도는 성칠보다 못한 편이기 때문에 고래바르기에 많이 사용된다.    그 외 수간(樹幹)에서 뽑지 않고 가지에서 뽑은 가지칠과 불로 끓여서 낸 화칠 등이 있으나 칠의 성분이 생칠만 못하기 때문에 좋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생칠의 성질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옻은 그 자체가 피막을 형성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수역인 옻액을 그대로 칠로 사용할 수 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생칠을 그대로 작품에 칠하게 되면 육안으로는 매끄러운 것처럼 보여도 균일한 도막이 형성되지 않아서 꺼끌꺼끌한 표면을 이루게 되어 작품을 망치게 된다. 또한 이 약은 수분이 고르게 섞여 있지 않게 때문에 그냥 사용할 경우 물방울 같은 것이 형성되어 있다가 도막을 형성하여 칠을 하고 난 후 그것이 마른 뒤에 보면 물방울이 있던 자리는 빈 구멍으로 남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처음에는 아주 미세한 공간으로 보일지 모르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흉터로 되어서 칠이 벗겨지는 원인이 되면 표면에 요철을 만들게 된다. 생칠 안에 있는 여러 성분들이 잘 섞이지 않으면 도막을 형성하여 말린 후에도 변색되기도 한다. 누런 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을 칠이 탄다고 한다. 또한 조금만 도막이 두텁게 형성되어도 겉과 안의 건조 속도가 달라서 칠 표면에 주름이 생기게 되는 원인으로 되기도 한다. 이것을 칠이 울었다고 한다. 그리고 칠하는 데 있어서 농도가 너무 늦으면 칠이 표면에서 너무 쉽게 흘러내려서 칠하기가 어렵게 되고, 반대로 농도가 너무 높으면 두껍게 발리게 되어 붓자국이 남게 되어 좋은 작품을 만들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개선하여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생칠을 정제하게 되는데, 정제 과정에서 여러 가지 첨가물을 넣어 광택이 나도록하기도 하고, 붉은 가루를 넣어서 착색하여 여러 용도로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정제가 잘 되면 칠살 올리기가 쉬워져서 좋은 작품을 만드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생칠의 정제 방법  나무에서 추출한 생칠은 그대로 사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생칠을 정제한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거친 생칠에 섞여 있는 여러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한 옻칠을 만드는 것인데, 이렇게 정제한 생칠을 정제생칠(옻액)이라고 한다. 다른 하나는 생칠을 저어서 이겨서(칠고르기) 생칠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열로서 증발시켜 그 본래의 성질을 개량하고 용도에 맞게 상태를 향상 시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친 칠을 정제옻칠 혹은 옻칠이라고 한다. 생칠에는 여러 성분의 다른 물질들이 섞여 있기 때문에 이를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여 칠이 골고루 칠해지도록 하는 기능과 주성분인 옻산이 락카제와 골고루 반응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정제의 가장 주요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공정과정 1. 사포칠 : 목기의 바탕인 백골(白骨)을 사포(砂布)로 문지르는데, 거친데를 매끈하게 하는 작업으로 이 작업을 바탕 바로잡기라 한다. 2. 생칠 바르기 : 백골에 귀얄(돼지털솔) 생칠을 얇게 발라서 칠장에 넣어 건조시키는데, 이름 말칠(末漆) · 초칠(初漆) · 바탕칠이라 한다. 이 공정에 생칠이 나무에 스며들며 흠집도 메워진다. 3. 틀메임 : 톱밥, 밥풀, 생칠을 섞어 틈이 난 곳을 메운다. 혼합비율은 생칠 45% 톱밥 40% 밥풀 15%이다. 4. 베 바르기 나무가 터지거나 뒤틀어지지 않게 베를 바르는 일로 생칠과 쌀풀을 섞는데 비율은 55%와 45%이며 쓰이는 도구는 칠주걱이라 한다. 5. 고태 바르기 : 황토를 불에 구워낸 다음 물에 띄워 가루를 내고, 황토가루와 생칠과 풀을 배합해서 베바르기 한 위에 발라서 베의 틈을 메운 다음 평평하게 바른다. 배합률은 45 : 50: 5 이며, 은행나무 칠주걱을 쓴다. 6. 숫돌 갈기 : 고태 바르기를 마치면 물을 주면서 숫돌로 바닥을 갈아 평평하게 한다. 7. 자개붙임(또는 자개지짐) : 자개(주로 제주산 전복껍질)를 도안에 얹어 실톱으로 오려 종이에 붙여놓은 것을 아교칠을 하여 인두로 지져 붙인다. 8. 아교빼기(또는 풀빼기) : 자개 밖으로 묻어난 아교를 닦아내는데, 물을 90~ 100도로 끓여 문질러낸다. 9. 생칠 바르기 : 자개를 붙인 곳에 생칠을 발라 말리면 단단히 붙고 오래 간다. 10. 고태 바르기(또는 토분바르기) : 황토를 물에 풀어서 정제한 가루인 토분과 생칠, 물을 혼합하여 자개붙임 바탕에 두 차례 바른다. 토분, 생칠, 물의 비율은 40 : 50 : 10 이다. 11. 숫돌 갈기 : 토분을 바른 뒤에 숫돌로 물을 주어가면서 부드럽게 간다. 지나치게 갈면 자개가 닳아 없어지고 바탕이 패이게 된다. 12. 중칠(中漆)바르기 : 토분을 재얹어 갈아 놓은 곳을 중칠을 발라 칠장에 넣어 하룻밤을 재워 말린다. 13. 숯으로 갈기 : 중칠의 건조된 표면을 숯으로 간다. 숯으로 은행나무를 특수하게 열처리한 것이 좋다. 14. 오칠(五漆)바르기 : 중칠한 위에 질 좋은 상칠(上漆)을 발라 마지막 칠을 한다. 옻칠은 단번에 두껍게 바르지 못하며 여러번 거듭 두껍게 할수록 좋다. 15. 숯으로 갈기 : 자개 위에 상칠을 바른 경우 자개등 위의 칠을 긁어낸 다음 숯으로 생칠을 한 두께의 1/4정도 갈아서 바닥을 곱게 한다. 16. 초광내기 : 치분(齒粉, 가루치약)과 콩기름을 섞어서 숯으로 갈아 솜에 찍어 바닥을 문지른 다음 콩기름만을 솜에 찍어 문지르면 고운 윤이 난다. 17. 재광내기 삼광내기 : 마지막 광내기로 생칠 중 좋은 칠을 정하게 해서 광을 낸 위에 솜으로 골고루 문지른 다음 칠장에 넣어서 2~3시간 말린 후 치분을 발라 기름기를 빼내고 솜으로 곱게 닦은 다음 부드러운 종이로 포장한다.  이와 같은 옻칠은 자개로 장식하는 그릇 뿐만 아니라 갓이나 소반 쟁반 등 목기와 장죽(長竹),  죽기(竹器), 지기(紙器)를 비롯한 기타 일용 도구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생옻칠장(生옻漆匠) 신중현(申重鉉) 생칠 기능보유자 지정대상자인 신중현(申重鉉)은 경기도 포천 태생이나 1941년에 서울에 올라와 매형 홍순태(洪舜泰. 1994년 卒)와 같이 살게 되었으며, 1951년 칠정제장 홍순태의 문하에서 견습공으로 일하게 되었다. 그 후 홍순태가 '대한 공예원'(대표 장승환)에서 공장장을 할 때 본격적인 칠기공으로 일을 하게 되었다. 홍순태는 11세 되던 해, 이왕가 미술공방에서 이원구 선생으로부터 사사 받기 시작하여 이후 1928년부터 1937년까지 조기준 선생, 1938년부터 빙견(일본인)선생 등으로부터 사사 받았다.   신중현은 1955년에는 김진갑이 경영하는 '신성공예사'에서 칠장 일을 배웠고, 군복무를 필한 뒤에는 다시 홍순태의 작업장에서 작업을 돕다가 그 후, 서울 왕십리에 홍순태와 공동으로 공장을 설립하여 공장장으로 일하였다.   그는 1988년 서울 신림동 난곡사 오존불 생칠 조성과 경남 합천군 해인사 대적광전 칠존불 보수, 1992년 경북문경군 가은면 봉암사 법당 본존불 및 후불목탱화의 생칠 완성, 1993년 충남 공주군 마곡사 천불상 생칠 보수, 1995년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 문수동자상(국보221호) 생칠 보수 등 많은 문화재 보수 등에 참여한 실적이 있다. 신중현은 1989년 생옻칠장 기능보유자로 지정 되었다. 참고문헌 및 출처 서울무형문화재기능보존회 / http://www.seoulmaster.co.kr/ ,지역정보포털 / http://www.oneclick.or.kr/,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한국콘텐츠진흥원

  • 강진옻칠(강진칠기),생옻칠, 정제옻, 색옻칠

    강진옻칠(강진 칠기)   중국에서는 벌써 4천년 전 칠을 사용하였고 2천년 전 한(漢)시대의 작품이 우리나라의 낙랑군(樂浪郡) 유적에서 발굴 되었으며 옻의 견뇌도(堅牢度)가 증명 되었다. 그 후 더욱 거슬러 올라가서 전국시대 즉 기원전 3세기 초 초(楚)시대의 문물과 같이 다수의 칠기가 호남성 장사 부근과 하남성 낙양 교외의 금촌부터 발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옻칠한 기물의 흔적은 B.C 3세기경부터이며, 삼국시대에는 고분에서 다양한 종류의 칠기가 발견된 바 있다. 신라에서는 칠전(漆典)이란 관서가 있었고, 고려시대에는 중상서(中尙署)와 군기감(軍器監)에 칠장이 배속되어 있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경공장(京工匠)과 외공장(外工匠)에 칠장이 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풍의 공예가 들어와 우리 전통공예기술이 끊겨버릴 위기에 있었으며 광복이후 캐슈(Cashew)라는 값싼 대용 칠의 등장으로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칠기는 퇴보를 거듭하였다.      어려운 상황에서 (다행히) 기능보유자 신중현(申重鉉)은 그의 매형인 홍순태(洪舜泰)에게 전수 받아 옻칠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홍순태옹은 11세 되던 해, 이왕가 미술공방에서 이원구 선생으로부터 사사받기 시작하여 이후 1928년부터 1937년까지 조기준 선생, 1938년부터 빙견(일본인)선생 등으로부터 사사받았다. 서울시 종로구 재동에 있는 그의 집에는 부인과 3년 째 칠장 기술을 전수받고 있는 딸 신혜영(34) 씨가 함께 살고 있다. 집안 곳곳에 다소곳이 놓인 생옻칠 목기들은 세월과 장인의 정성을 머금고 더없이 고운 빛을 내고 있었다. 늙은 부자(夫子)처럼 오랜 세월 함께한 선생과 그의 작품들은 어딘가 많이 닮아있다. 한국의 옻칠은 10-15년 된 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 즉 생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일본에서 많이 사용하는 정제칠이 화학 처리를 거쳐 독성을 갖은 것과는 달리 무독성에, 나무의 독특한 문양을 살리면서도 그 속에 스며들어 더욱 기품있는 빛을 발하게 한다. 색뿐 아니라 자연살균기능을 가진 옻칠은 고려시대 제작된 국보 제32호인 팔만대장경이 약 760년 동안 보존될 수 있었던 주요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진상품관련근거옻[漆]은 강원도(간성군, 금성현, 금화현, 낭천현, 삼척도호부, 안협현, 울진현, 이천현, 인제현, 정선군, 철원도호부, 춘천도호부, 평강현, 평창군, 홍천현, 회양도호부, 횡성현, 흡곡현) 경상도(榮川郡, 永川郡, 거제현, 경주부, 군위현, 대구도호부, 밀양도호부, 비안현, 선산도호부, 성주목, 신녕현, 예안현, 의령현, 의성현, 의흥현, 진주목, 창원도호부, 청송도호부, 초계군, 칠원현, 함안군) 전라도(전주부, 고산현, 금구현, 장흥도호부, 담양도호부, 용담현, 임실현, 진안현, 창평현, 광양현, 동복현) 충청도(괴산군, 단양군, 덕산현, 온양군, 정산현, 한산군, 홍산현, 진천군) 평안도(가산군, 박천군, 벽동군, 삼화현, 성천도호부, 순천군, 영유현, 용강현, 은산현, 증산현, 철산군, 태천현, 희천군) 함경도(명천현, 북청도호부, 이성현) 황해도(서흥도호부, 송화현, 토산현, 풍천도호부)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남칠(藍漆), 생칠(生漆), 옻(漆)  건칠(乾漆) 등을 진상한 기록이 있다.    상품정보 옻나무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동양이 원산이며, 중국 인도 등에서는 날부터 많이 재배하던 나무입니다. 지금 우리나라에 있는 야생옻나 옛날 중국에서 수입하여 재배하던 옻나무 밭에서 갈라 나온 것이며, 온 산야에 넓게 퍼져 있습니다.옻의 사용과 옻나무의 재배가 언제부터 이루어졌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중국의 사기에 의하면, 순나라때 이미 칠기를 사용한 흔적이 있고, 우리나라에도 낙랑시대 유물에서 칠기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그때 옻칠을 한 집기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천연 옻은 생산량도 많지 않고 값도 많이 비싸므로, 주로 미술 예품에만 쓰이고 있는 실정입니다. 옻칠로 생기는 도막은 부착성과 관택이 뛰어나고 촉감이 좋아서,락카나 에나멜에 비하여 품질이 월등하고 예술적 감각이 풍겨 나옵니다.옻이 손이나 피부에 묻으면 독성 물질 때문에 옻이 오르는 위험이 있습니다.옻을 타는 사람은 대체로 10명중 1명꼴이라고 하며, 옻에 올랐을 때는 비눗물로 잘 씻고 간이 치료법으로 보드라운 소금을 바르면 가려움증이 없어집니다.옻의 채취는 보통 4~5년생 옻나무에서 하며, 송진을 채취하듯 나무껍질에 V자로 상처를 내어 거기서 흐르는 수액을 채집합니다.옻에 오르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을 하기 위해 노츨된 피부에 식물성이나 동물성 기름을 바르고 작업을 합니다. 옻칠은 옻자와 칠자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낱말로, 옻은 옻나무 줄기나 가지에서 뽑은 수액이나 독기를 뜻하는 순수한 우리말이며, 칠(漆)자는 옻칠의 수액뿐만 아니라 옻나무자체까지도 뜻합니다. 오래전부터 옻나무에서 채취한 천연도료인 옻칠을 사용하여왔는데, 언제부터 채취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선사시대부터 생활도구나 무기류, 농기구등을 나무로 만들어 쓰면서 나무가 갈라지고 터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재료가 필요하게 되어 자연에서 경험을 얻어낸 옻칠을 사용하였을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옻칠채취는 일반적으로 6월 중순에 시작하여 10월 중순에서 늦게는 11월초까지 하는데, 옻칠은 이른 새벽에 많이 나오고 오후에는 잘 나지 않으므로, 새벽 4시경부터 오후3시경까지 채취합니다. 채취방법에 따라 생칠(生漆)과화칠(火漆)로 나누는데, 생칠은 옻나무에 흠집을 내어 흘러나오는 칠을 채취한 것으로 공예품과 공업용으로 주로 쓰이며, 화칠은 옻나무를 베어내 물에 일주일 정도 담갔다가 흠집을 내어 불에 구워 칠이 흘러나오면 이것을 채취하는데 주로 약용으로 쓰입니다. 옻칠은 외부습기를 흡수하거나 방출하여 항상 일정한 수분을 머금어 유지하기 때문에나무로 만든 생활용구나 무기류 등에 옻칠을 하면 표면에 견고한 막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광택이 나고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도 변하지 않아 목기류를 보존하는데 내구성이 뛰어난 천연도료로 인정 되었습니다.이러한 특성 때문에 4,000여 년 전부터 칠기문화가 발달하여 단순한 생활용구뿐만 아니라 각종 예술품, 금속이나, 목공도장용, 칠기류등에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옻칠이란옻의 특징은 기록에 의하면 옻은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도료로 애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내구성(耐久性)이 요구되는 기물에 옻을 바르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산(酸)이나 알칼리, 염분(鹽分), 알코올 등의 약품에도 강하고 견고성이 뛰어나 잘 벗겨지지도 않으면서 방수성(防水性), 방부성(防腐性), 그리고 열(熱), 전기(電氣)의 절연성(絶緣性)이 탁월하다는 점도 자연 도료(自然塗料)인 옻의 빼 놓을 수 없는 장점으로 이를 기초로 칠기 문화가 형성된 것이다. 옻나무의 줄기에다 여름철에 껍질부터 목질에 이르기까지 홈을 내고 나무껍질의 칠액구(漆液溝)부터 칠 액을 매어 나오게 해서 채집한 회백유상액(灰白乳狀液)을 생칠(生漆)이라 한다. 생칠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시킨 후 용도에 따라 가공 정제 시킨 것을 정칠(精漆) 또는 제칠(製漆)이라 말한다. 중국에서는 벌써 4천년 전 칠을 사용하였고 2천년 전 한(漢)시대의 작품이 우리나라의 낙랑군(樂浪郡) 유적에서 발굴 되었으며 옻의 견뇌도(堅牢度)가 증명 되었다. 그 후 더욱 거슬러 올라가서 전국시대 즉 기원전 3세기 초 초(楚)시대의 문물과 같이 다수의 칠기가 호남성 장사 부근과 하남성 낙양 교외의 금촌부터 발굴 되었다. 이것은 관(棺)을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백점토로 밀폐한 결과 낙랑의 출토품보다 완전히 보존되고 있다. 일본에 있어서는 승문식(繩文式)시대에 벌써 칠을 사용 했음이 명확해졌다. 옻칠의 종류 옻칠은 우선 용도에 따라 생옻칠, 정제옻, 색옻칠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그중 생옻은 그 채집하는 시기와 방법에 따라 옻칠의 양이 결정됨으로 그 특성을 잘 파악하여 투명칠 흙칠 광내기칠 색칠 등에 적합한 것을 적용하여 정제하여야 한다. 생옻칠 생옻이란 6년생 이상의 옻나무의 몸에서 채취된 옻액을 솜이나 베에다 걸어서 이물질을 제거한 원액을 생옻칠이라 한다. 생옻은 그 생산시기에 따라 초칠, 성칠, 말칠, 지칠 및 화칠로 구분되며 그 특성 및 사용되는 곳은 아래의 설명과 같다. 생옻의 특성과 좋고 나쁨의 판단은 옻칠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가장 기초적인 일이다. ① 초칠(첫내기) 초칠은 6월 중순에서 7월 중순까지로 기준하여 채집된 생옻을 말한다. 초칠의 특성은 수분이 많고 도막을 두텁게 칠할 수 있으며 건조후의 가벼운 도수(경도)가 비교적 약한 편이다. 칠이 완전히 건조되면 검은 색이 많이 나타나며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 주로 밑칠에 많이 사용한다. ② 성칠 성칠이란 초칠이 끝난 후 채집된 생옻으로 대개 삼복더위를 전후로 해서 8월 중순까지 채집되는 생옻을 말한다. 성칠은 도막의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할 수 있고 건조가 잘 되며 가벼운 도수 즉 경도가 강하다. 또한 도막의 광택이 가장 좋으며 골회 바르기 상칠용의 도료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③ 말칠(끝내기칠) 말칠은 9월초에서 9월말까지 채집된 생옻을 말한다. 말칠의 특징은 도료의 점도가 제일 높으며 수분이 가장 적은 칠이다. 따라서 말칠의 용도는 밑칠에 많이 쓰이는데 밑칠이란 눈매가 깊거나 나무의 목리(木理)를 살리는 목기용 도장에 가장 적합하다. 또는 골회 만들기의 원료로도 많이 사용된다. 말칠의 도료는 도막두께가 두껍게 건조되나 건조가 비교적 느린 흠점도 있다. 그 점은 높아 희석제의 첨가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이다. ④ 지칠(가지내기칠) 지칠은 옻나무 몸뚱이에서 옻액을 전부 채취한 후 그 이외의 부분을 알맞게 잘라 묶은 다음 물에 담가 2~3일간 수분을 머금게 한 후에 옻나무 몸뚱이를 긁어 상처를 돌려서 낸 다음 그 곳에서 옻액을 채집한다. 지칠의 특성은 건조가 느리고 점도가 높다. 지칠 옻액은 성칠 또는 초칠과 섞어 배합한 후에 용도에 알맞게 사용한다. ⑤ 화칠(火漆) 지칠과 똑같은 방법으로 옻나무 가지를 물속에 2~3일간 담가 두었다가 수분을 머금게 한 후에 한쪽을 불에 쬐이면서 다름 한쪽에서 물줄기를 끊듯이 상처를 내어 옻액을 채취한 칠을 화칠이라 한다. 이것은 우리나라 전통 옻액의 채취법이기도 하다. 이때 옻액의 양은 많으나 그 질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화칠의 채집 원리는 상처를 그어서 낸 수지 흠으로 옻액이 이동하면서 상처 낸 곳으로 옻액이 배어 나오는데 이 옻액을 모으면 된다. 화칠의 기본 색상은 숯과 같은 이물질이 혼입되어 검붉은 색이고 또한 채집하는 도중에 산화효소가 손상되고 열로 인하여 수분이 거의 없으므로 건조가 느려서 몇 일이 걸려서 건조된다. 그러므로 옛날에는 정제 기술이 없었어도 화칠의 용도가 매우 많았던 것을 알 수 있다. 화칠은 주로 약칠 등의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화칠과 말칠 또는 화칠과 성칠을 섞어서 정제되지 않아도 도막을 형성 하는데는 별 불편함이 없이 사용되었다.   효능 옻닭은 여성들의 생리불순 및 생리통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허리 통증, 근육통, 어깨 결림, 멍들었을 때 어혈(나쁜 피)제거 효과가 있다. 또한 숙취 해소, 위장 보호 효과, 원기 회복과 정력 증진의 효과 등 오장육부의 질병을 다스리며 현대병, 성인병 예방 차원의 보양 음식이다. 또한 최근에 이루어진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옻나무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성분이 항암, 항산화,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옻은 뭉친 피를 풀어주며 살균효능이 있다. 적용질환은 어혈로 인한 각종 증세, 월경이 멎어버리는 증세, 음식물에 심하게 체한 증세 등이다.   주의사항 알레르기성 체질을 가진 사람에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신체 어느 부위에나 생길 수 있지만 얼굴, 팔, 다리, 손과 발 등 옻나무와 접촉이 쉬운 부위에 생긴다. 특히 옻나무 수액이 눈 주위에 접촉하면 눈을 뜨지 못할 정도로 얼굴이 부을 수 있다. 옻나무 수액이 묻은 손으로 다른 신체 부위를 만지면 그 부위에도 피부염이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옻의 주요 성분은 우루시올과 갈산인데, 우루시올은 알레르기성 피부염, 호흡곤란 등 증세를 일으킬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독성물질이다.   관련근거 및 출처  위키백과 ,http://blog.naver.com/autocafe0 옻칠명장, 두산백과, (몸에 좋은 산야초, 2009.11.15, ㈜넥서스) , 문화재방송국,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                                                          

진상품 이야기 더보기

웹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