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웅담[熊膽], 곰쓸개, 웅담의 효능
 

곰의 몸 속에 있는 쓸개를 채취하고 말린 약재. 곰쓸개라고도 불리며 몸보신과 정력강화 등으로 쓰이는 약재이기도 하다. 한국에서 사육되는 곰은 원래 법률상 웅담만을 채취하도록 되어 있으나 현재는 곰고기까지 은밀히 유통되는 형편이다. 주로 흑곰, 반달가슴곰 등의 쓸개를 채취하여 이를 바람이나 햇볕에 말린 뒤 쓰이는 약재로 암컷이나 수컷에 구분없이 건강한 쓸개를 가진 곰의 복부를 갈라서 쓸개나 담즙(膽汁)으로 채취한다. 맛은 매우 쓴 편이며 갈색 또는 흑갈색 덩어리를 띄고 있다. 주머니 모양을 띄고 있으며 속에 금색의 담즙이 있고 이 담즙을 채취하여 약재로도 쓰인다. 쓸개와 마찬가지로 맛은 쓰며 비린내가 지독하게 나는 편.와신상담의 고사의 어원이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몸보신과 정력강화 등을 목적으로 곰 사육장을 통해서 쓸개와 담즙 채취가 문제시 되어서 동물보호단체 등으로부터 비난과 항의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으며 일부는 중국이나 동남아 등으로 원정을 나가서 웅담이나 담즙을 사들이거나 채취하기도 한다.

여러 동물보호단체들과 학자들에게서 고발된 바에 따르면 엄청나게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간염, 간암 및 패혈증에 시달리는 곰들에게서 산 채로 추출해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비윤리적인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그 과정을 말하자면 곰의 쓸개에다가 살아있는 채로 링거바늘을 꼽고 호스와 꼭지를 달아 담즙을 채취한다. 절대로 옛날처럼 곰을 죽여 쓸개를 따로 빼지 않는다. 곰을 잡아버리면 한개밖에 못 꺼내지만 이렇게하면 상시채취가 가능하기에 효율이 좋다고. 그리고 채취 중 사탕이나 설탕같은 걸 마구 먹이면 곰은 단맛에 정신이 팔려 고통은 거의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당연히 이 과정에서 감염이 일어나는건 기본이고 쓸개에 무리가 가서 부어오른다든가 곪는다든가 심하면 간암에 걸리기도 한다. 그리고 물론 이렇게 뽑아낸 담즙에는 엄청나게 많은 세균과 고름(...)이 있다. 이런걸 중국에서 단체관광을 온 4~50대 남성들한테 판매를 시도하는데 잘 사먹는다고 한다. 고름과 세균덩어리를 비싼 돈 주고 사먹는......정력을 위해서라면 차라리 운동을 하고 필요하다면 전문의 치료를 받자...한국인 남성들의 발기부전 대부분의 이유가 비만과 스트레스인데 먹어서 세울려고 해봤자 될리가 없다.

그럴저럭 윤리적인 곳에선 마취해서 초음파 영사기로 쓸개의 위치를 확인해 주사기를 통해 뽑아낸다. 이 방식에 대해선 위의 꼭지와 달리 어느정도 윤리적인 판단이 갈리는편이다. 일반적으로 도살되는 가축들에 비하면 더 대접이 좋은데다 위생상의 문제도 적기 때문. 쓸개와는 달리 곰은 특히 식용고기로는 거의 먹지 않는 편으로 알려져있는데, 쓸개에서도 그렇지만 지독한 짐승의 노린내 때문에 고기로 먹는 일이 거의 드물거나 없다. 다만 홋카이도 등지에선 소량이나마 식용으로 유통되기도 하는데, 백성귀족에서 작가의 부친에 따르면 사람이 버린 짬 잔반 등을 먹고 자란 곰은 고기도 먹을 만하다고 한다. 웅담의 주 성분인 담즙산(UDCA)의 경우 생합성 및 추출하여 이담제 및 간기능 개선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간때문이야로 유명한 우루사가 대표적. 괜히 비위생적이고 비윤리적인 웅담을 찾지 말고 이런 제품을 전문의와 상담 하에 사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

진상품관련근거
웅담은 강원도(감영, 원주, 이천, 철원) 경상도(거창군, 문경현, 산음현, 진주목) 충청도( 보은,
안음현, 단양) 평안도(위원) 함경도(경성, 경원, 경흥, 길주, 단천, 부녕, 북청, 종성)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특징 및 사용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은 몸이 불곰보다 작고 전체가 광택이 나는 검정색이며, 앞가슴에 반달 모양의 큰 흰색 무늬가 있다. 그러나 이 무늬는 변이가 심하여 큰 것, 작은 것, 또는 없는 것도 있다. 과실, 도토리 등 단단한 열매를 좋아하며 나무의 어린 싹도 잘 먹는다. 그 밖에 곤충과 물고기도 잡아먹는다. 교미 시기는 7~9월이고, 교미 시기가 끝나면 암수가 떨어져 생활한다. 겨울엔 나무 구멍이나 동굴에 들어가 동면을 한다. 수명은 60~70년이다. 곰의 쓸개를 웅담(熊膽)이라 하며, 약재로 귀하게 쓴다. 맛이 매우 쓰다. 약으로 쓸 때는 탕보다는 주로 생약을 입에 넣고 따뜻한 물로 삼킨다. 주로 신경계, 운동계 등의 통증을 다스린다.

웅담의 성분과 약성
곰의 쓸개라 하는 웅담은 길이 10~20㎝, 넓이는 5~8㎝로 조금 떼어 물에 넣으면 꽃이 피어나듯 연기가 피어 오르듯 황금색 용해질이 풀어져 나와야 진품이라고 한다. 얇은 층 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한다. 웅담에는 담즙산의 알칼리 금속염, 콜레스테롤, 빌리루빈이 들어 있다. 담즙에는 약 20%의 타우로우르소데족시콜산이 주성분이다.
웅담의 약효성분은 타우로 우르소데소시 코릭 애시드가 20% 가량 들어 있는데, 이것이 물에 녹으면 타우린과 우르소데소시 코릭 애시드로 분리된다. 약에 대한 효능을 최초로 기록한 책은 중국의 ≪약성론 藥性論≫이며, 그 뒤 ≪본초강목≫ 등에 기록되어 있으며, 국내의 현존문헌으로는 ≪향약집성방≫이 있다. 성분은 담즙산, 티우로콜산, 글리고골산 등이 들어있으며 몸보신이나 정력강화 그리고 급성질환이나 소아병에 쓰인다.
해열, 진경, 진정작용을 한다. 전염병이나 독감으로 고열이 나고 경련을 일으킬 때 웅담 1g만 복용해도 효과가 있다. 특히 어린아이의 열성 경련에는 아주 조금만 입에 넣어주면 된다. 위.십이지장 궤양으로 인한 통증, 담낭염이나 담석증으로 산통이 있을 때 소량 복용하고 대상 포진으로 통증이 심할 때는 웅담을 녹인 액체를 환부에 바르면 빠르게 통증이 멎는다.

그 외 웅담의 효능
- 소염, 해독 작용이 있어 간염, 담낭염, 간성 혼수에도 응용한다. 급성 인후염으로 목이 붓고 아프거나 입안이 헐었을 때 먹거나 붙이면 염증이 가라 앉는다.
- 소아의 간질 발작, 중풍, 고혈압, 심장병 등에도 효과가 있으며 죽력(대나무에서 얻은 즙)에 녹여 먹는다.
- 담즙 분비를 촉진하여 위산과다를 중화시키며 지방질의 소화기능력을 돕는다.
- 어혈로 야기된 각종 근육통이나 산성체질화 된 것을 해소해 준다.
- 눈을 밝게 해주며 염증으로 눈이 빨갛게 붓고 아픈 경우, 눈에 군살이 나는 경우, 눈앞이 흐릿하고 잘 보지 못하는 경우에 효과가 있다.
- 황달, 오랜 설사, 종기, 가슴이 아픈 증상, 전염병, 치질, 악창을 고친다. 

민간요법처방
경기(驚氣) :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경선결핵(經腺結核) :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따뜻한 몰로 복용한다.
나력(나?) :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나을 때 까지 따뜻한 몰로 복용한다.
뇌기능 장애(腦機能 障?) :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4~5일 따뜻한 몰로 복용한다.
담석증(膽石症) :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3일 정도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담즙 분비량 증가膽汁分泌量增加)) :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2~3일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딸꾹질(吃逆:흘역) : 웅담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2~3회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백일해(百日咳) :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로 4~5회 복용한다.
소염제(消炎劑) : 웅담 1~3g을 물에 타서 10회 이상 환부에 바른다.
안질(眼疾) :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3~4회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열병(熱病) : 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물로 복용한다.
위경련(胃經攣) :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3~4회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진경(鎭經) :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3~4회 침으로 삼킨다.
진통(陣痛) :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입에 넣고 물 한 모금으로 복용한다.
치통(齒痛) :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타박상(打搏傷) : 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5~6회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폐렴(肺炎) : 웅담 0.5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4일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해독(解毒) : 웅담0.5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해열(解熱) : 웅담 0.5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따뜻한 물로 복용한다.

웅담 가루 만드는 법
① 겨울철에 곰을 잡아 담낭을 떼내어 담낭 입구를 실로 묶는다.
② 담낭에 붙어 있는 기름을 제거하여 그늘진 곳에 말린다.
③ 또는 석회가 들어 있는 통 안에 넣고 말린다.

주의사항
종양과 한열병과 같은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평생 먹어서는 안 된다.
웅담은 허약해서 생긴 병, 심장병, 결핵, 간염을 앓는 산모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익생양술 효능
간염, 뇌기능장애, 담석증, 간담경으로 들어가 간경의 열을 청열한다. 열극생풍에 의한 경련, 경풍, 전간, 추휵 등을 치료한다. 또한 간열에 의한 눈질환을 치료한다.
옹종을 없애는 작용이 있어 옹종, 창양, 치창 등을 치료하며, 인후종통에도 효과가 있다.
간의 지방을 감소시키며 간을 강화 / 보호하고, 해독작용을 증진시키며, 유산 생성을 억제하고 담즙 생성 / 분비를 촉진하며, 간색소의 배설기능을 항진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약재의 효능
청심(淸心):  (열사(熱邪)가 심포(心包)에 침입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진경(鎭驚):  (발작 등의 증상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거예(去翳):  (예(翳)를 제거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제열거사(除熱去邪):  (열(熱)을 제거하고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담(膽) , 비(脾) , 위(胃) 
성미: 고(苦) , 한(寒)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주의사항: 담즙을 말린 것

약재사용처방
금쇄시(金鎖匙): 급후폐(急喉閉) , 전후풍(纏喉風) 
비전신응고(秘傳神應膏): 치루(痔瘻)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오장감(五臟疳) 
오담고(五膽膏): 내장(內障) , 안화(眼花) 
웅담(熊膽)[1]: 회심통(蛔心痛) 
웅담(熊膽)[2]: 예막(翳膜) , 다루(多淚) 
웅담(熊膽)[3]: 충심통(蟲心痛) 
웅담(熊膽)[4]: 천행급황(天行急黃) 
웅담(熊膽)[5]: 감창(疳瘡) 
웅담고(熊膽膏): 치루(痔瘻) , 탈항(脫肛) 
웅담즙(熊膽汁): 악창(惡瘡) 
웅빙고(熊氷膏) /  탈항(脫肛) , 치루(痔瘻) 
유인고(蕤仁膏) /  예장(翳障) 
점예고(點瞖膏) /  예막(翳膜) 
추예환(墜翳丸) /  예막(翳膜) , 내장(內障) 
해아산(孩兒散) /  탈항(脫肛) 

기타
흑곰과 반달곰의 쓸개를 건조시켜 만든다. 건조된 웅담은 도란형(倒卵形:알을 거꾸로 세운 형태)으로 위쪽은 협착되고 아래는 팽대되었다. 길이는 10∼20㎝, 너비 5∼8㎝이다.
겉면은 회흑색 또는 흑갈색이며, 광택이 현저하고 주름이 져 있으며, 엷은 주머니 모양이며 단단하다. 속에는 담즙이 건조되어 있는데, 괴상 또는 과립상·분말상으로 끈적한 느낌을 갖게 하고 광택이 있으며, 황금색으로 투명하고 호박(琥珀)과 비슷하다. 맛은 쓰고 약간 비린내가 난다.
웅담을 생쥐에게 투여하였을 때 경련을 억제시키고 해독작용을 증강시켰다. 그리고 개구리의 심장에 대하여 소장에서는 흥분작용을 나타냈다. 또한, 담즙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로 증명되고 있다.
또, 전염병으로 인하여 열이 심하고 경련이 있으며, 심할 때에는 헛소리를 반복하는 사람에게 1g을 내복시키면 증상이 호전된다. 어린아이의 열성경련에는 150㎎을 투여한다.
그리고 소염·해독작용이 뛰어나서 급성인후염·구강궤양·치질 등에 통증이 심하고 종창·발적(發赤) 증상이 있을 때에는 외용약으로 쓰면 염증이 소실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안과질환으로 각막의 혼탁, 결막염 등으로 눈에 충혈이 심하고, 통증을 수반하는 종창에 60∼90㎎을 온수에 풀어서 눈에 넣어주면 증상이 호전된다. 신생아가 결막염으로 눈물과 눈곱이 심하게 낄 때에도 눈에 넣어주면 특효를 나타낸다.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눈에 충혈이 심할 때에도 탁월한 반응을 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타박상으로 피부의 외면과 신체 내부에 어혈이 들었을 때에 웅담을 온수에 풀어서 복용하면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유도하면서 통증이 손쉽게 제거되는 신통력을 얻게 된다. 피부의 대상성포진에 바르면 진통효과가 있고, 위궤양·십이지장궤양으로 심한 통증을 유발할 때에 복용하면 진통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소아의 급성신염으로 인한 고혈압에 사용하여 일정한 효과를 얻고 있다. 용량은 소염·진통작용에 사용할 때에는 0.6∼2.5g을 내복하거나 환·산제로 쓰고 끓는 약재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안염과 치질에 염증을 소산시키는 웅담산이 있다.

참고문헌
한약임상응용(漢藥臨床應用)(안덕균 외역, 성보사, 198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생의 자연건강 컨텐츠, 겨레사랑생활건강회, 여지도서, 신증동국여지승람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