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가락지나물, 사함, 쇠스랑개비,사함, 소용아, 자배용아, 자배초, 사포오피풍, 오필풍, 오피풍, 지오갑, 오조룡, 지오가, 오엽매, 지오조, 오호하산, 오조풍, 호남약물질, 오조금룡, 오엽사매, 사함위릉채, 쇠스랑개비, 소스랑개비, 가락지나물, 큰잎가락지나물, 가는잎쇠스랑개비, 작은잎가락지나물, 아기쇠스랑개비
 

가락지나물(쇠스랑개비)
가락지나물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Poetnilla enemonefolia Lehman <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ott>]이다. 쇠스랑개비라고도 한다. 산비탈이나 들의 습기 있는 곳에서 자란다. 높이는 20∼60cm로 하반부가 비스듬히 누워 자란다. 뿌리잎은 긴 잎자루를 가진 손바닥 모양 겹잎이고 줄기에는 잎이 3개씩 달리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진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거꾸로 선 넓은 바소 모양이다.
꽃은 4∼7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취산꽃차례를 이루고 작은꽃대는 5∼20mm로 위로 향하는 흰색 털이 있다. 수술과 암술이 많고, 꽃받침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겉에 털이 약간 있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털이 없고 세로로 약간 주름진다. <가락지나물>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시골 아이들이 꽃을 따서 가락지를 만들어 놀이에 사용했다고 하여 <가락지나물>이라고 부른다.
어린 순은 식용한다. 한방에서 개화기에 뿌리와 함께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사함(蛇含)이라 하며 발열, 경기, 인후염, 종기, 습진 등에 처방한다. 또, 날것을 짓찧어 상처가 난 곳이나 뱀, 벌레에 물린 자리에 붙이면 효과가 있다.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등 난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 청열, 해독, 발열, 경기, 종기, 습진, 해수, 인후통, 단독, 사교상(뱀에 물린 상처), 벌레에 물린데, 장폐색증(임상보고), 벌에 쏘인데, 미친개에 물린데, 온학, 상풍해수, 마진후열해, 칼 따위에 베인 상처, 적진, 신면악선, 뇌공등의 중독, 지네에 물린데, 각막궤양, 소아 경련, 백일해, 풍습마비, 편두통, 눈이 충혈된데, 학질(말라리아)을 다스리는 가락지나물
 
가락지나물의 다른 이름은 사함[蛇含=shé hán=서↗한↗, 사함:蛇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소용아[小龍牙: 두문방(斗門方)], 자배용아[紫背龍牙: 본초도경(本草圖經)], 자배초[紫背草: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사포오피풍[蛇包五披風: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오필풍[五匹風: 초목편방(草木便方)], 오피풍[五皮風, 지오갑:地五甲, 오조룡:五爪龍: 분류초약성(分類草藥性)], 지오가[地五加, 오조호:五爪虎, 오엽매:五葉莓: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지오조[地五爪, 오호하산:五虎下山: 강서민간초약(江西民間草藥)], 오조풍[五爪風, 오성초:五星草, 오호초:五虎草: 호남약물질(湖南藥物誌)], 오조금룡[五爪金龍, 오엽사매:五葉蛇莓: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사함위릉채[蛇含委陵菜: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오헤비이치고[オヘビイチゴ=雄蛇苺: 일명(日名)], 쇠스랑개비, 소스랑개비, 가락지나물, 큰잎가락지나물, 가는잎쇠스랑개비, 작은잎가락지나물, 아기쇠스랑개비 등으로 부른다.
 
[채취]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생것으로 사용하거나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과 성질]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1,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2, <본초도경>: "맛은 맵고 달며 독이 없다."
3, <초목편방>: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약효와 주치]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경간, 고열, 말라리아, 해수, 인후통, 습비(濕痺), 옹저선창(癰疽癬瘡), 단독(丹毒), 양진(痒疹),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1, <신농본초경>: "경간, 한열(寒熱), 사기(邪氣) 등의 열(熱)을 제거하고 금창(金瘡), 저치(疽痔), 서루악창(鼠瘻惡瘡), 두양(頭瘍)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심복사기(心腹邪氣), 복통, 습비(濕痺)를 치료한다."
3, <약성론>: "단진(丹疹), 소아 한열(寒熱)을 치료한다."
4, <본초습유>: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5, <일화자제가본초>: "뱀, 벌레, 벌, 살모사에게 물린 상처 및 눈이 충혈된 것을 치료하며 지혈, 풍진, 옹종을 치료한다."
6, <본초도경>: "인후의 부종 동통을 치료하려면 입에 물고 있는다."
7, <식물명실도고>: "해수를 치료한다."
8, <본초편방>: "땀을 내고 피부의 열을 내리게 한다. 풍담해수(風痰咳嗽), 경간(驚癎)을 치료하고 눈을 씻어 소독한다."
9, <분류초약성>: "해수, 풍한습기(風寒濕氣), 타박상을 치료한다."
10, <호남약물지>: "미친개에 물린 상처, 흉배통(胸背痛), 이질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1.5~3돈(신선한 것은 1~2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짓찧어 바르거나 달인 물로 입안을 가신다.
가락지나물에 대해서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 218면 257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가락지나물[Potentilla anemonefolia (P. kleiniana Wight et Arnott] [장미과]
여러해살이풀. 높이 20~60cm. 꽃은 황색으로 5~7월에 피며 지름 8mm 가량이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세로로 약간 주름이 진다.
분포/ 전국의 산과 들이나 논 가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 말린 것을 사함(蛇含)라고 하며, 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말라리아, 해수, 인후통, 단독, 사교상(蛇蛟傷)을 치료한다.
사용법/ 전초 10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고, 외용에는 짓짛어서 환부에 바른다.
참고/ 잎이 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손 바닥 모양이므로 다른 종과 구분된다.]
가락지나물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6권 79면 2652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사함(蛇含)] 기원: 장미과(薔薇科: Rosaceae)식물인 사함위릉채(蛇含委陵菜=가락지나물: 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의 뿌리를 포함한 전초(全草)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이다. 주근(主根)은 짧고 측근(側根)은 수염모양이다. 근생엽(根生葉)은 긴 자루를 가지고, 경생엽(莖生葉)은 좁고 작으며 자루가 짧으며 장상(掌狀) 복엽(複葉)이고 소엽(小葉)은 3∼5장이고 타원형(橢圓形) 혹은 협도란형(狹倒卵形)이고 잎가장자리의 상부에는 굵은 거치(鋸齒)가 있다. 꽃은 작고 황색이며 정생(頂生)하는 원추상(圓錐狀) 취산화서(聚傘花序)를 이룬다. 열매는 수과(瘦果)이고 세로의 주름이 있고 털이 없다. 화기(花期)는 4∼5월이다.
분포: 산비탈의 습지에서 자란다. 중국 대부분 지역에 분포. 우리나라에서는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생용(生用)하거나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효능: 청열(淸熱), 해독(解毒), 지경(止痙).
주치: 고열경간(高熱驚癎), 학질(瘧疾), 해수(咳嗽), 후통(喉痛), 습비(濕痺), 옹저(癰疽), 단독(丹毒)과 독사교상(毒蛇咬傷).
용량 및 용법: 4.5∼9g. 외용시(外用時)에는 적량(適量)을 끓여서 씻거나 바른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하권, 4336면.]
 
 가락지나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소아경련
① 오피풍(五皮風: 가락지나물) 4돈, 토승마(土升麻) 2돈, 은화등(銀花藤) 2돈, 토조근(土爪根) 2돈의 탕약을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② 오피풍(五皮風: 가락지나물) 3돈, 전충(全蟲) 1개, 강충(僵蟲) 1개, 주사(朱砂) 5푼을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갈아 혼합해서 가루내어 더운 물로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2, 온학(溫瘧), 고열, 해수
오필풍(五匹風: 가락지나물) 5돈, 백렴(白蘞) 2돈, 자소(紫蘇) 3돈에 물을 붓고 달여서 발작하기 2시간 전에 복용한다. 하루 2첩씩 계속하여 3첩 복용한다.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3, 학질(말라리아)
사함(蛇含: 가락지나물) 5~7포기(털이 없고 줄기가 가는 것이 좋다)를 뜨거운 물에 담가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4, 상풍해수(傷風咳嗽)
오피풍(五皮風: 가락지나물), 배풍등(排風藤)의 탕약을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5, 백일해
오피풍(五皮風: 가락지나물) 5돈, 생강(生薑) 3편을 달여서 그 탕약을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6, 마진후열해(麻疹後熱咳)
오피풍(五皮風: 가락지나물), 백납화(白蠟花), 비파화(枇把花) 각 3돈을 가루내어 벌꿀을 가해 쪄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7, 풍습에 의한 마비
오피풍(五皮風: 가락지나물), 생강(生薑)을 달인 물로 환부를 씻는다. [귀주초약(貴州草藥)]
8, 옹종(癰腫), 편두통
사함(蛇含: 가락지나물)의 전초를 짓찧어 그 즙으로 문지르거나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9, 칼 따위에 베인 상처
사함초(蛇含草: 가락지나물)를 짓찧어 바른다. [주후방(肘後方)]
10, 적진(赤疹)
사함초(蛇含草: 가락지나물)를 잘 짓찧어 바른다. [고금록험방(古今錄驗方)]
11, 뱀에 물린 상처
오조룡(五爪龍: 가락지나물), 산종자(山棕子) 각 3냥, 일조변(一條邊) 1냥을 준비해 절반은 달이고 절반은 절굿공이로 찧어서 상처에 바른다. [민동본초(閩東本草)]
12, 오공(蜈蚣: 지네)에 의한 자상(刺傷)
사함초(蛇含草: 가락지나물)를 비벼서 붙인다. [두문방(斗門方)]
13, 신면악선(身面惡癬)
자배초(紫背草: 가락지나물)에 생반(生礬)을 넣고 갈아서 2~3회 붙인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14, 각막궤양
신선한 사함(蛇含: 가락지나물)의 전초 3그루를 씻어서 짓찧어 환안(患眼) 미궁(眉弓: 눈썹의 휘어진 부분)에 붙인다. 1~2일에 한 번씩 약을 갈아 붙인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5, 뇌공등(雷公藤)의 중독(中毒)
신선한 사함(蛇含: 가락지나물)의 전초 2~4냥, 잎이 달린 신선한 구수(構樹)의 가지 7~8개를 짓찧어 즙을 내어 오리알의 흰자위 4개 분을 넣고 혼합하여 먹인다. [절강민간상용초약(浙江民間常用草藥)]
16, 장폐색증의 치료(임상보고)
신선한 가락지나물의 전초 4냥을 짓찧어 즙을 취하여, 같은 양의 사내아이 소변을 넣고 약간 가열하여 천천히 복용한다. 겨울에는 건조품을 1회에 2냥씩 달인액을 만들어, 같은 양의 사내아이 오줌과 복용하면 같은 효과가 있다.
만약 복용 후 격렬한 구토를 일으켜 약을 토했을 때에는 복용할 약의 양을 보충하여, 약을 조금씩 여러 번에 나누어 복용한다. 일반적으로 2회 째 복용할 때에는 구토가 멎는다. 여러 환자의 임상 치료에서 모두 24시간 내에 효과가 나타났다. [중약대사전]
 
[비고(備考)]
1, <명의별록(名醫別錄)>: "사함(蛇含: 가락지나물)은 익주(益州: 지금의 사천성:四川省)의 산골짜기에서 난다. 8월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2, <도홍경(陶弘景)>: "사함(蛇銜; 가락지나물)에는 2가지가 있다. 어느 것이나 돌 위에서 자라지만, 잎이 가늘고 노란꽃인 것을 사용한다. 어느 곳에서나 자란다. 또 황토땅에서 자라는 것도 있는데 반드시 돌 위에서 자란 것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3, <본초강목(本草綱目)>: "사함(蛇含: 가락지나물)은 풀이다. 그 잎은 용아(龍芽) 즉 용의 어금니와 비슷하여 작고 등이 자색이므로 보통 소용아(小龍芽)라고 하며 똔느 자배용아(紫背龍牙)라고도 한다. 소송(蘇頌)의 <본초도경(本草圖經)>에는 자배용아(紫背龍牙)가 중복해서 나오는데, 지금은 하나로 통일되어 있다. 두 가지 가운데서 잎이 가는 것을 사함(蛇銜)이라고 부른다. 잎이 큰 것을 용함(龍銜)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이것도 창고(瘡膏)에 넣어 쓸 수 있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출처: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