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강진굴, 생굴, 석화, 석굴, 굴[石花], 생굴(生石花), 모려 굴의 효능
 

 

굴(석화), 석화, 석굴은 동서양을 통하여 그 역사가 깊은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선사시대의 여러 패총에서 출토되는 굴 껍질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역사는 오래되 보이나 기록상으로는 1454년 단종 2년 공물용으로 사용한 기록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지며, 굴이 식용으로 이용된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선사시대 조개더미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강원도를 제외한 7도의 토산물로 기록되어 있고, 전어지, 자산어보
등에는 형태에 관한 기록이 있다
.
한방의학대전을 보면1주일에 한번씩 먹으면 정력과 영양을 돕고 갈증에 좋다고 적혀 있다. 빈혈증, 병후의 보신, 황달, 대하증 치료에 좋고 고혈압, 신경쇠약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모려 = ,석화) 성질이 고르고 맛은 짜며 독이 없다. 대장과 소장을 깔깔하게 하고 대변과 소변 및 도한을 그치게 하고 설전과 여자의 대하적백을 치료하고 온학을 없애준다. 모려가 연하고 굳게하는 약제이니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동해에서 나고 아무때나 채취하는데 일설에는 11월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좋고 그 껍질을 들어보면 남으로 향해서 보고 입이 동으로 향한 것이 좌고라 하는데 또 다른 일설에는 뾰족한 머리로써 좌고라 하니 좌고라 하는 것이 약에 쓰는데는 좋다고는 하지만 대체로 보아서 큰것이 좋다. 먼저 소금물에 한참끓인 뒤에 불에 사루어서 분으로 갈아쓴다.
( = ) 먹으면 향기롭고 보익하며 기부의 살갗을 가늘게 하고 얼굴색을 아릅답게 하니 바다속에서 가장 귀한 물건이다. 굴은 다른 패류와 달리 조직이 부드럽고 단백질 및 기타 영양분의 소화 흡수율이 높아서 유아나 어린이, 노인 및 병약자에 이르기까지 이용이 가능하므로 완전한 영품으로 우유에 비견되고 있는 것이다.
 
진상품관련근거
[石花], 생굴(生石花)은 경기도(강화도호부, 교동현, 김포현, 남양도호부, 부평도호부, 수원도호부, 안산군, 인천도호부, 통진현, 풍덕군) 경상도(고성현, 곤양군, 김해도호부, 동래현, 사천현, 울산군, 진해현, 창원도호부, 하동현, 熊川縣) 전라도(부안현, 옥구현, 나주목, 영암군, 무안현, 영광군, 함평현, 강진현, 장흥도호부,진도군, 해남현, 낙안군, 보성군, 순천도호부, 흥양현, ) 충청도(결성현, 당진현, 보령현, 서산군, 태안군, 해미현, 홍주목, 면천군, 서천군) 평안도(곽산군, 귀성도호부, 박천군, 삼화현, 선천군, 숙천도호부, 안주목, 영유현, 용강현, 용천군, 정주목, 증산현, 철산군, 평양부, 함종현) 함경도(경원도호부, 경흥도호부, 덕원도호부, 문천군, 부령도호부, 안변도호부, 영흥대도호부, 함흥부) 황해도(강령현, 연안도호부, 옹진현, 해주목) 제주도(제주목)에서 대전, 세자궁, 왕대비전, 혜경궁에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 역주탐라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춘관통고에 기록이 되어있다.
 
진상품 관련이야기(설화, 식문화, 음식유래담)
굴은 동양인보다 서양인이 더 좋아하고 일찍 부터 애용했다고 한다. 서양인은 굴을 정력제로 여겨서 ‘Eat oysters, love longer(굴을 먹어라 보다 오래 사랑하리라)라 하여 미신적으로 집착할 정도이다. 대작가 발자크는 한번에 12타스(1444)의 굴을 먹었다고 하는 일화로 유명하고, 독일의 명재상인 비스마르크는175개를 먹어서 객석의 사람들을 놀라게 한 일화도 있다.
 
상품정보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수심이 얕으며 경사가 완만하다. 넓은 간석지와 경사도 1000분의 1 정도의 평판한 갯벌은 굴 등의 패류 맛을 깊게 해주는 천혜의 자연환경이다. 해서 이곳에서 생산된 굴이 가장 맛이 있었다. 조선왕조에서 백성들에게 부과한 생굴 진공은 경기도와 전라도 옥구에서 있었다. 굴젓갈인 석화해(石花<91A2>)는 궁이 아닌 채취된 현지에서 만들어 올려졌다. 얼마나 귀하고 맛있었던지 명나라 황제에게 선물로 보내기도 하고 명나라 사신들에게 고급 반찬으로 제공되기도 했다(1429, 세종 11). 이 젓갈이 정조 무렵에는 김치의 재료가 되는데 석화잡해가 그것이다. 일종의 굴김치로 소금에 절인 무와 쪽파에 석화해를 버무려 만든 것이다. 석화구이는 알이 큰 싱싱한 굴만 골라 긴 꽂이에 보석 꿰듯 꿰어 소금을 섞은 참기름 장을 발라 화롯불에 석쇠를 올려놓고 살짝 구웠다(1795, 정조 19). 1892(고종 29)에는 고종 등극 30년을 축하하는 진찬(進饌)이 열렸다. 이때 ‘석화전유화가 올랐다. 곱게 다져 양념한 쇠업진육(소의 가슴살)을 소로 하여 생굴로 만두처럼 싸서 밀가루와 달걀로 옷을 입혀 몽실몽실한 꽃()처럼 참기름에 지졌다. 굴의 상큼한 맛에 업진육의 감칠맛이 더해져 화려한 맛의 극치를 이룬다. 이렇듯 굴이 명나라에 올리는 선물이나 고급 반찬 혹은 연회 때 오른 것은 굴이 가진 향()과 맛() 때문이기도 하지만 굴이 가진 성질도 한몫했다. 이름하여 보익(補益·보충하여 건강하게 만듦)하고 안색을 아름답게 만드는 특성이다.전라도 고부에서는 석화염(石花鹽)을 진공했다. 석화염이란 소금으로 끓인 굴 껍데기를 불에 구워 가루로 만든 것이다. 이 가루는 도한(盜汗·잠자는 동안 저절로 나오는 식은 땀), 몽설(夢泄·잠자는 동안 정액을 흘리는 일·泄精), 여자의 대하 치료 등에 쓰였다. 조선왕조가 지닌 굴에 대한 평가는 반가(班家·양반 집안)에도 널리 퍼져 있었던 것 같다. 홍만선(1643~1715)은 그의 저서 『산림경제』에서 “회로 먹을 경우 초장에 찍어 먹고, 쌀 위에 올려 굴밥을 짓거나, 두부와 함께 찌개를 끓이기도 하고, 커다란 굴은 꽂이에 꿰서 기름장을 발라 굽기도 하는데, 작약 꽃이 만발할 때 바닷물로 굴을 씻어 물기를 뺀 다음 독에 넣어 젓갈을 담근다. 고 했다.
동의보감에서는 (모려 = , 석화) 성질이 고르고 맛은 짜며 독이 없다. 대장과 소장을 깔깔하게 하고 대변과 소변 및 도한을 그치게 하고 설전과 여자의 대하적백을 치료하고 온학을 없애준다. 모려가 연하고 굳게 하는 약제이니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 = ) 먹으면 향기롭고 보익하며 기부의 살갗을 가늘게 하고 얼굴색을 아름답게 하니 바다 속에서 가장 귀한 물건이다. 본격적으로 자연산 굴을 먹기 시작하는 달은 10월이지만 요즘은 양식으로 굴을 재배하기 때문에 사계절 내내 먹어도 큰 무리는 없다.
 
고르는 법
신선한 굴 을 고르려면 우선 빛깔을 살펴야 한다. 빛깔이 맑고 선명하며 유백색으로 광택이 나는 것, 만져봐서 탄력이 느껴지는 것이 싱싱한 굴이다. 석화의 경우는 유심히 살피고 만져보고 구입할 수 있지만 알굴(깐 굴)의 경우에는 소금물에 담가 불려놓기 때문 에 고르기가 쉽지 않다. 굴 가장자리에 붙은 테두리가 선명 하고 검은빛을 띠면 신선한 것이고, 육질이 희끄무레하고 퍼져 있는 것은 오래된 것으로 피한다.
 
손질법
굴을 맹물에 씻으면 특유의 향과 맛이 사라지기 때문에 물이 빠지는 소쿠리에 담아 옅은 소금물에 흔들어가면서 씻은 다음 바로 건져 먹는 것이 좋다.
 
끓이기굴 
다른 어패 류와는 달리 조직이 부드럽고 단백질, 미네랄 등 영양분의 소화흡수율이 높은 완전식품이다. 겨울철 굴을 즐겨 먹는 것은 제철 인 까닭도 있지만 몸의 면역력을 높여 감기를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굴국밥 480.7㎉굴 150g, 4공기, 실파 50g, 달걀 4, 마늘 2, 국간장·참기름 2큰술씩, 소금 약간, 4
→굴은 소금물에 깨끗이 씻어 손질하고 실파는 4㎝ 길이로 썬다. 마늘은 가늘게 채 썰고 달걀은 잘 풀어둔다. 달군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마늘을 볶다가 굴을 넣고 살짝 볶은 후 물을 넣고 끓인다. 팔팔 끓으면 풀어놓은 달걀 과 실파를 넣고 국간장과 소금으로 간해 마무리한 후 그릇에 밥을 담고 굴국을 보기 좋게 담아 낸다.
 
생조리
스태미나식으로도 좋은 굴을 어리굴젓으로 만들어 저장해두었다가 밑반찬으로도 먹고, 식욕이 없을 때 뜨거운 쌀밥에 쓱쓱 비벼 먹으면 겨울철 식욕을 돋우는 데 좋다. 굴의 매력은 향기에 있다는 말도 있듯이, 굴을 생으로 먹을 경우 특유의 맛과 향을 동 시에 느낄 수 있는 것이 장점.
어리굴젓 74.3㎉굴 200g, 천일염 약간양념장 마늘 2, 생강 ½톨, 배즙·고춧가루 2큰술씩, 무즙·다진 파 1큰술씩
→굴은 깨끗이 손질해 체에 밭쳐 물기를 빼고 천일염에 버무려 살짝 삭도록 둔다. 마늘과 생강은 가 늘게 채 썰어 나머지 양념장 재료와 잘 섞는다. 굴과 양념장을 잘 버무린 후 통에 담아 저장한다.
 
찌기굴
다른 어패류에 비해 살이 연해 소화와 흡수가 잘되는 것이 특징. 소화력이 떨어진 노인들의 간식이나 밥반찬으로 좋다. 굴 달 걀찜은 양파의 단맛과 부드러운 달걀, 굴의 향이 자연스럽게 배어든 것이 맛의 포인트.
굴 달걀찜 136.2㎉굴 100g, 달걀 4, 양파 ½개, 우유·청주·맛술 2큰술씩, 실파·소금 약간씩, 다시마 우린 물 2
→굴은 소금물에 깨끗이 씻어 손질하고 양파는 가늘게 채 썬다. 달걀과 다시마 우린 물, 우유, 청주, 맛술, 소금을 잘 섞은 후 체에 한 번 걸러 부드럽게 만들고 거품을 제거한다. 작은 볼에 채 썬 양파를 깔고 굴을 올린 후 걸러 둔 달걀물을 넣는다. 용기에 포일을 덮은 후 찜기에 올려 약한 불에서 부드럽게 익을 때까지 10분 정도 올려둔다. 다 익은 후 송송 썬 실파를 뿌려 마무리한다
 
부치기굴
학습 기능을 향상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항암 작용, 노화 억제 효과에 탁월한 DHA가 다량 함 유되어 있어 수험생들의 영양 간식으로도 좋다. 굴전은 달걀옷을 얇게 입혀 굴의 향을 살려 부치는 것이 좋은데 너무 자잘한 것보다는 알이 큰 굴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굴전 133.3㎉굴 150g, 달걀 1, 밀가루 ½컵, 실파·소금·후춧가루·포도씨유 약간씩
→굴은 알이 큰 것으로 준비해 깨끗이 손질하고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달걀에 소금, 후춧가루로 간 을 한 후 송송 썬 실파를 섞어둔다. 물기를 뺀 굴에 밀가루를 골고루 묻힌 후 달걀옷을 입히고 잘 달군 팬에 포도씨유를 두르 고 노릇하게 익힌다.
 
데치기굴
살짝 데치면 보존력이 좋아지면서 굴의 향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렇게 데친 굴은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 과가 있고, 소화가 잘되므로 성인병 환자나 노인들의 영양 반찬으로 좋다.
굴된장무침 44.9㎉굴 100g, 다진 풋고추·붉은 고추 1큰술, 된장·설탕·사과식초·다진 마늘 1큰술씩, 깨소금·참기름 약간씩
→깨끗이 손질한 굴을 팔팔 끓는 물에 살짝 데치고 체에 밭쳐 건져 물기를 뺀다. 나머지 양념장 재료 를 잘 풀어 섞은 후 데친 굴을 넣고 잘 버무린다.
 
튀기기굴
튀기면 특유의 맛과 향이 덜해져 평소 굴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거부감 없이 먹을 수 있다. 여기에 타르타르소스 등을 곁들이면 더욱 고소해 아이들도 좋아하는 간식이 된다. 굴튀김은 튀김옷을 너무 두껍게 입히지 않는 것이 좋으며, 굴이 딱딱해지고 기름 을 많이 흡수하지 않도록 재빠르게 튀겨내는 것이 좋다.
굴튀김 258.8㎉굴 150g, 달걀 1, 밀가루·빵가루 ½컵, 소금·후춧가루·포도씨유 약간씩드레싱 양파 ½개, 마요네즈 4큰술, 실파 약간
→굴은 알이 큰 것으로 준비해 깨끗이 손질하고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물기를 뺀 굴에 밀가루를 골 고루 얇게 묻힌 후 소금, 후춧가루로 간한 달걀물로 옷을 입히고 빵가루를 다시 한 번 입힌다. 튀김용 팬에 포도씨유를 붓고 170℃가 되면 굴을 넣고 노릇하게 튀긴다. 키친타월을 깔고 튀긴 굴을 올려 기름을 뺀다. 양파는 가늘게 채 썰고 실파는 송송 썰어 마요네즈와 잘 섞어 튀긴 굴과 함께 곁들여 낸다.
 
굴의 효능
굴에는 단백질 함량이 우유에 비해 2배가량 많으며, 칼슘함량은 쇠고기의 약 8배 비타민 A 17배로 월등히 높고, 정자의 생성에 깊게 관여하고 남성의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아연의 함량이 40mg으로 모든 어패류 중에서 가장 높다. 타우린 함량이 매우 높아 콜레스테롤계 담석 용해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알코올 독소 제거 등의 효과도 있다.
 
타우린과 아연은 성장기 어린이의 발육과 허약체질 개선 학습능력 향상에도 효과가 크며, 풍부하게 함유된 칼슘은 골다공증 예방과 피로 회복 및 간 해독작용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굴의 풍부한 미네랄과 비타민은 적혈구의 생성을 촉진시켜 빈혈을 예방하고, 피로와 스트레스를 줄여주며, 변비를 막아 혈색이 좋게 하고, 피부를 곱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의보감에서는 굴을, 성질이 고르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 대장과 소장을 까깔 하게하고 대변과 소변 및 도한을 그치게 하고 설전과 여자의 대하적백을 치료하고 온학을 없애준다. 굴은 연하고 굳게 하는 약제이니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굴은 11월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좋고 그 껍질을 들어보면 남으로 향해서 보고 입이 위아래로 향한 것이 좌고라 하는데 약효가 좋다고 하였고, 먼저 소금물에 한참 끓인 뒤에 불에 사루어서 분으로 갈아 쓴다. 먹으면 향기롭고 보익하며, 기부의 살갗은 가늘게 하고 얼굴색을 아름답게 하니 바다에서 가장 귀한 물건이라고 되어있다.
 
주의할점
5~8(May, June, July, and August)에는 굴이 독성을 가지는 산란기일뿐더러 바닷물에 여러 종류의 비브리오균(Vibriospp.)과 살모넬라(Salmonella enterica), 대장균(Escherichia coli)들이 득실거려, 생 걸 먹으면 큰 탈 난다.
 
관련근거 및 출처
거제문화관광, 한방의학대사전, 동의보감, 신증동국여지승람, 자산어보, 전어지, 춘관통고, 두산백과,


11111.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