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석결명(石決明), 포(鮑), 진주모(珍珠母), 복어갑(鰒魚甲), 구공나(九孔螺), 천리광(千里光)
 

석결명(石決明)은 전복과에 딸린 전복(全鰒)의 껍질을 말하는데 한약재로 사용하며, 멕시코가 원산지인 한해살이 풀인 석결명(학명 Cassia occidentalis)과는 다르다. 전복은 [자산어보]에 서는 복어(鰒魚)로 표기하였고, [본초강목]에서는 석결명(石決明)이라 하였으며, 조가비는 빛깔이나 광택이 좋기 때문에 공예품의 재료나 액세서리 재료로도 쓰이고 있으며, 전복의 학명은 Haliotis discus이다. 우리나라에는 참전복과 까막전복, 말전복, 오분자기 등 6종이 알려져 있다.
석결명은 말전복의 껍데기를 건조한 것입니다. 말전복은 우리나라 동해와 남해에서 산출됩니다.
석결명은 눈을 밝게 해주는데 꼭 돌처럼 딱딱하기 때문에 석결명이라고 한 것입니다.
천리광이라는 이름도 눈을 밝게 해주는 효능에서부터 나온 별명입니다.
재질이 무거워 누르는 성질이 있어 간화를 꺼뜨리고 뜨는 양(浮陽)을 눌러주는 전형적인 평간잠양약입니다. 어떤 분들은 왜 간을 평하게 해주는 약이 눈을 밝게 해주는지 궁금해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간이 눈으로 개규한다(開竅, 구멍을 낸다)고 하여 간과 눈이 밀접하게 연결지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혀, 입, 코, 귀도 각각 심, 비, 폐, 신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것을 오행배속이라고 하는데, 이런 지식은 오랜 경험을 통해 얻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간화를 끄는 석결명이 눈을 밝게 해주는 효능이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닌 것입니다.
석결명을 쓸 때는 파쇄하여 생으로 쓰거나 달구어서 사용합니다.
달군 석결명은 차가운 성질이 줄어들고 수렴, 고삽작용이 증강되어 지혈의 용도로도 쓰입니다.
그러나 석결명처럼 짜고 찬 약재는 비위를 손상시키기 쉬우므로 비위가 약한 사람은 피해야 합니다.

학명: Haliotis gigantea Gmelin (= Nordotis gigantea)
라틴명: Haliotidis Concha
일반명: 말전복
과명: 전복과(Haliotidae)
약용부위: 패각
약재성상: 이 약은 길이 5-14cm, 너비 3-9cm 로 껍질의 바깥면은 평탄하지 않고 회백색-회흑색이며, 선태류, 석회충 등이 부착되어 있다. 돌출된 나선상의 늑문은 명확하지 않고 꼭대기로부터 20여 개의 뚜렷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돌기가 바른쪽 방향으로 배열되고 그 중 4-5개는 뚫려 있다. 안쪽 면은 매끄럽고 광택이 강하다. 질은 몹시 단단하고 깨뜨리기 어렵다.

석결명(石決明, 전복껍질)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며[떝] 독이 없다. 청맹과니와 내장(內障), 간(肝), 폐(肺)에 풍열이 있어 눈에 장예(障꾅)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 복어껍질(鰒魚甲)을 말하는데 일명 구공라(九孔螺) 또는 천리광(千里光)이라고도 한다. 동해나 남해에서 난다. 구멍이 7개나 9개 있는 것이 좋다. 아무 때나 잡아 써도 좋다. 진주의 어미이다. 속에는 진주가 들어 있다.
○ 밀가루떡에 싸서 잿불에 굽거나 소금물에 2시간 정도 삶아서 겉에 있는 검으면서 주름이 진 껍질은 버리고 밀가루처럼 보드랍게 가루내어 쓴다[본초].
석결명육(石決明肉)
복어(鰒魚)라고 하는데 성질이 서늘하고[ꦽ] 맛이 짜며[떝] 독이 없다. 먹으면 눈이 밝아진다.
○ 전복을 반찬으로도 먹는데 맛이 좋다.
○ 껍질과 살은 다 눈병을 낫게 한다[본초]. 

진상품관련근거
석결명[石決明]은 제주도(제주목)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제주대정정의읍지. 여지도서보유편,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주치병증
골증노열(骨蒸勞熱) ; 골증로(骨蒸勞)ㆍ골증열(骨蒸熱) 허로병 때 뼛속이 후끈후끈 달아오르는 증. 음식, 칠정(七情)으로 비위가 내상되거나, 병후에 조리를 잘못했거나, 아이를 낳을 때 힘을 너무 써서 일어남. 얼굴과 몸이 여위고, 설사하고, 음식을 많이 먹지 못하고, 지체가 무력함. 증(蒸)이 신(腎)에 전해지면 조열(潮熱), 도한(盜汗), 기침, 전...
두목현훈(頭目眩暈); 머리와 눈이 어지러운 것.
불면(不眠);잠을 자지 못하는 증상. 잠들기 힘들거나 깊이 잠들지 못하여 자주 깨며 심하면 밤새 잠을 이루지 못한다.
임질(淋疾);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프고 방울방울 끊임없이 떨어지며, 늘 오줌이 급하게 나오면서 짧고 자주 마려운 병증. 임병(淋病), 임증(淋證)이라고도 함. [의학입문(醫學入門)] <임(淋)>에서 "임은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프고 누려고 하면 나오지 않고 누려고 하지 않는 데도 나오며 찔끔찔끔 끊임없이 지리는 것이다.(淋, ...
토혈(吐血);구역성(嘔逆聲)이 없이 구강으로 대량 출혈하는 병증
녹색색맹(綠色色盲);녹색(綠色)을 불완전하게 가려보는 것을 말함.
내장안(內障眼);내장안병(內障眼病)을 말함.
출전: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수치법
하석결명(煆石決明) : 석결명(石決明)을 깨끗이 해서 센 불로 벌겋게 달군 후 꺼내어 재빨리 소금물을 뿌리고 식혀서 파삭파삭해지면 맷돌에 갊. 하석결명(煆石決明) : 석결명(石決明)의 생품은 평간잠양(平肝潛陽) 작용이 있어 두통현훈(頭痛眩暈), 경간추축(驚癎抽搐) 씀. 그러나 하(煆)하면 위의 작용이 완화되고 고삽수렴(固澁收斂), 명목(明目) 작용이 강화되어 예장(翳障), 청맹(靑盲), 치루(痔漏) 등에 씀. 깨끗하게 한 석결명을 내화(耐火)용기에 넣어 무연로(無煙爐)에서 센불로 달구어 내복용은 회백색, 외용은 백색이 되면 꺼내서 식힌 다음 절구에서 찧어서 가루 냄.
출전: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2004년 5월 30일) 
이명;포(鮑), 진주모(珍珠母), 복어갑(鰒魚甲), 구공나(九孔螺), 천리광(千里光)
성미;평(平), 한(寒), 함(鹹)  선은 한(寒)하고, 미는 함(鹹)하다.
작용부위;간(肝) 신(腎)
금기;선복화(旋覆花)를 외(畏)함.
생약명(生藥名) : Haliotidis Concha
기원(基原) : 말전복 (Haliotis gigantea Gmelin)
귀경(歸經) : 간경
주치:두통현훈(頭痛眩暈), 목적예장(目赤翳障), 시물혼화(視物昏花), 청맹작목(靑盲雀目)

전복, 석결명의 특성과 성분
전복은 수심 5~50m 깊이의 바위에 붙어서 살고 있는데 껍질의 표면은 주름이 줄지어 있고, 여러 동식물이 붙어 있어서 암초와 흡사하게 보인다. 패각의 내부는 강한 진주광택이 있어 나전칠기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전복은 주로 다시마나 미역, 감태, 파래 등의 해조류를 먹고 산다. 전복은 껍데기 길이가 10~20cm 정도 되고, 타원형의 귓바퀴모양을 하고 있고, 구멍들이 위로 솟아 있는데 몇 개를 제외하고는 막혀 있으며, 열려 있는 구멍을 통해 물과 배설물을 내보낸다.
많은 종류가 있다. 편평한 타원형으로 패곡에는 6~9개의 호흡 구멍이 배열되었다. 패곡 안은 아름다운 진주와 같은 광택이 나며, 배면은 나선상(소래형태)의 조각과 돌기가 있다. 우리나라 해안에 많이 서식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가루를 물에 타 쓴다. 주로 신장과 간경에 효험있고 위장병을 다스린다.
전복은 비타민B1과 B12의 함량이 많고, 칼슘, 인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며, 가식부에는 콜레스테롤이 대부분인 스테롤과 숙신산, 류신, 아르기닌, 글루탐산 등이 들어있다. 전복껍질인 석결명은 탄산칼슘이 90% 이상이고, 유질질과 소량의 마그네슘, 철, 규산염, 유산염, 인산염, 미량의 오오드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한약재로 사용하기 위해 강한 불로 태우면 탄산염은 산화칼슘으로 분해되고 유기질은 파괴된다.

포함처방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눈에 병이든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결명산(決明散)결명원(決明元)공청원(空靑元);눈이 어두워 자세히 보아야 비로소 보이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바람을 맞아서 눈이 상해서 눈이 어둡고 눈물을 많이 흘리는 것과 갑자기 눈이 붓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대결명산(大決明散);간열(肝熱)로 눈에 핏발이 서면서 붓고 아프다가 갑자기 눈에 희거나 붉거나 푸른 막이 눈자위를 덮는 예막(瞖膜)이 생기거나, 혹은 비(脾)에 열(熱)이 있어서 눈꺼풀 안쪽에 조갯살처럼 생긴 것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대명복광산(大明復光散);일체의 눈병 특히 눈자위를 희거나 붉거나 푸른 막이 덮는 예막(瞖膜)을 치료하는 처방임
마광산(磨光散);풍안(風眼)을 치료하고 예장(瞖障)을 없애주는 처방임
사성산(四聖散);삼화오자환(三花五子丸);눈에 예막(瞖膜)이 생겨 눈앞에 검은 꽃무늬가 나타나거나 파리가 오르내리는 것이 보이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석결명산(石決明散)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풍안(風眼)과 기안(氣眼)으로 잘 보이지 않고 눈물이 나오면서 가렵고 예막(瞖膜)이 생기며 혹 두풍(頭風)증으로 잡아당기며 눈이 작아지고 눈꺼풀이 짓무른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연백익음환(連柏益陰丸)영양각환(羚羊角丸);녹풍(綠風)과 내장(內障)을 치료하는 처방임
점누정농출약(點漏睛膿出藥);내외(內外) 눈동자 끝에 창(瘡)이 생겨 고름물이 나오지만, 예장(翳障)도 없고 통증도 없는 누정농출(漏睛膿出)을 치료하는 처방임
 
전복, 석결명의 효능
효능: 거예(祛翳):예(翳)를 제거하는 효능임
명목(明目);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보음명목(補陰明目);음기(陰氣)를 보하여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식풍진정(熄風鎭靜);내풍(內風)을 치료하여 경기(驚氣)를 진정시키는 효능임
자음(滋陰);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지혈(止血);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청간명목(淸肝明目);간(肝)을 식혀주며 눈을 맑게해주는 효능임
청내풍간열(淸內風肝熱);내풍(內風)을 인한 간열(肝熱)을 식혀주는 효능임
통오림(通五淋);오림(五淋)을 소통시켜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 효능임
평간잠양(平肝潛陽);간장(肝臟)의 기운을 조화롭게 유지하여 비정상적으로 부월(浮越)하는 양사(陽邪)를 잠재우는 효능임
출전: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백내장, 임신중독증, 현훈, 평간잠양(平肝潛陽), 청간명목(淸肝明目)
석결명은 몸에 열이 많은 사람들의 두통, 현기증, 시력감퇴에 효능이 있고, 백내장이나 야맹증, 안구충혈, 눈부심, 안구 표면에 살이 차오르는 삼눈 등의 안과질환, 신장결석이나 요로결석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전복은 산모의 젖이 나오지 않을 때 효과적이다
 
전복, 석결명의 부작용
전복과 석결명은 성질이 차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 잘 맞는다. 사상의학에서는 전복을 태양인과 소양인의 음식으로 분류하고, 석결명도 태양인과 소양인의 음기부족으로 인한 열감, 안구충혈 등에 사용한다. 따라서 태음인은 많이 먹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옛 의서에서는 운모(雲母)와 상반되고, 선복화(旋覆花)와는 상극인 약재로 표기하고 있다.

전복, 석결명 복용시 주의사항
석결명은 한번에 10그램에서 20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알약, 또는 가루약 형태로 먹고, 눈에 점적할 때는 반드시 수비(水飛)해서 사용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4월에서 5월에는 전복의 내장에 독성이 있기 때문에 내장을 생식하지는 말아야 한다.

수비(水飛)란?
수비법은 광물성 한약재를 아주 보드라운 가루로 만들기 위해 물 속에서 가는 법을 말한다. 한약을 가루내어 약사발에 넣고 물을 조금 두고 충분히 간 다음 물을 더 넣고 저어서 현탁액을 만든다. 이 현탁액을 다른 그릇에 붓고 약사발에 남은 찌꺼기를 갈아서 다시 물을 붓고 저어서 그릇에 옮겨 닮는 조작을 되풀이한다. 모아둔 현탁액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윗층의 맑은 물을 버린 앙금을 말려서 한번 더 간 다음 채로 친다. 이 과정을 거쳐서 직경이 5~0.1㎛의 보드라운 가루를 얻는데 주로 경면주사나 석결명 등을 외용제로 사용할 때 수비한다.

참고문헌
제주대정정의읍지. 여지도서보유편,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한국전통지식포털, 익생의 자연건강컨텐츠, 한글동의보감, 본초, 체질박사김달래한의원, 의학입문, 동의보감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