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사마귀알, 상표소(桑螵蛸),사마귀알집은 황해도(감영,곡산,문화,서흥,송화,수안,신계,신천,안악,은율,長淵,長連,재령,토산,평산,풍천,해주,황주)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몸길이 60∼85mm로 몸집이 큰 편이다. 몸빛깔은 대부분 녹색이고 진한 갈색이나 연한 갈색인 개체도 있다. 암컷은 수컷보다 매우 크고 배의 나비가 넓다. 촉각(더듬이)이 다른 종보다 길다. 앞가슴의 뒤쪽은 앞다리 밑마디보다 조금 긴 점으로 구별이 된다. 앞가슴의 어깨는 비교적 발달했으며 옆가두리의 수평부는 가늘고 앞쪽은 나비가 넓다.


앞날개는 꼬리부의 뒤쪽에 이어진다. 앞날개를 펼치면 앞가두리의 옆부분은 비교적 나비가 좁은 녹색의 가죽질이고 그 밖의 부분에는 갈색의 날개맥이 여러 줄 있다. 뒷날개를 펼치면 투명한 황갈색 바탕에 나비가 좁고 불규칙한 검은색 무늬가 가운데에 여러 개 나 있다. 앞다리는 포획다리로 밑마디의 아래바깥가두리에 16개 이상의 짧은 가시가 있고 넓적다리마디의 아랫바깥가두리에는 4개, 아랫가두리에는 약 17개의 가시가 있으며 중간가시는 4개인데, 둘째 것이 특히 길고 크다.


주로 평지와 저수지 주변의 초원 지대에 서식한다. 9월부터 11월까지 볼 수 있으며 주행성으로 나뭇가지나 잡초 위에서 먹이를 기다린다. 주로 작은 곤충을 잡아먹지만 때로는 개구리나 도마뱀과 같은 척추동물도 먹는다. 의태가 발달해 주변 환경에 따라 몸빛깔을 변화시킨다. 한국·일본·중국·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왕사마귀와 매우 비슷해서 구별이 쉽지 않은데, 왕사마귀에 비해 등이 매우 좁고 가늘며, 알집의 모양도 왕사마귀가 한쪽이나 양쪽 모서리가 편평해 짧은 원통형에 가까운 데 비해 옆에 조금 모가 지고 타원형에 가깝다.

진상품관련근거
상표소(桑螵蛸)는 황해도(감영,곡산,문화,서흥,송화,수안,신계,신천,안악,은율,長淵,長連,재령,토산,평산,풍천,해주,황주)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상표소(桑, 사마귀알집)
[婦人];임신부가 오줌이 잦으면서 참지 못하는 데는 사마귀알집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득효].
[腎臟];신이 쇠약하여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데 주로 쓴다. 술에 씻어 약간 쪄서 알약에 넣어 쓴다[본초].
[小便];오줌이 술술 자주 나오는 것[滑數]을 멎게 하는데 오줌이 나오는 줄을 모르는 것[遺尿]과 백탁(白濁)을 치료한다. 술에 쪄서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을 달인 물에 타 먹으면 잘 낫는다[단심].
[精]; 정기를 보하고 또한 누정(漏精)을 치료한다. 사마귀알집을 쪄서 가루내어 미음에 타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본초].
뽕나무 위의 사마귀의 알둥지. 일명 ‘식우(蝕)’. 사마귀[螳螂]의 알이다. 뽕나무 위에 산다. 2월이나 3월에 채취해서 쪄서 불에 구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이 설사를 한다. (증류본초)

상표소(桑螵蛸) / 사마귀
라틴명; Mantidis Ootheca
약재의 효;능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정경간(定驚癎);  (놀라서 간질(癎疾)이 난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화응체(化凝滯);  (응결되고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축뇨(縮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통오림(通五淋);  (오림(五淋)을 소통시켜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 효능임) 
고포지유(枯泡止遺);  (방광을 고삽(固澁)하고 유뇨(遺尿)를 멈추는 효능임) 
보심완간(補心緩肝) ; (심(心)을 보하고 간(肝)기능을 완화하는 효능임) 
고신익정(固腎益精) ; (신(腎)을 튼튼하게 하고 정(精)을 더해주는 효능임) 
양신(養神);  (신(神)을 길러주는 치료 방법임.) 
영인유자(令人有子);  (부인을 임신시키게 한다는 의미를 가리키는 용어임.) 
작용부위; 간(肝) , 방광(膀胱) , 신(腎) 
성미; 감(甘) , 평(平) , 함(鹹)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알이 들어있는 벌레집. 쪄서 말림. 음허다화자(陰虛多火者)는 쓰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계장산(鷄腸散) /  소아유뇨(小兒遺尿) 
금박환(金箔丸) /  백음(白淫) , 몽설(夢泄) 
녹각산(鹿角散)[1] /  몽설(夢泄) 
대토사자원(大兎絲子元) /  포기불고(胞氣不固) , 소변불금(小便不禁) 
묘응환(妙應丸)[2] /  적백탁(赤白濁) 
비정원(秘精元) /  소변백탁(小便白濁) 
상표소(桑螵蛸)[1] /  누정(漏精) 
상표소(桑螵蛸)[2] /  누정(漏精) 
상표소(桑螵蛸)[3] /  백탁(白濁) , 유뇨(遺尿) 
상표소(桑螵蛸)[4] /  임신소변불금(妊娠小便不禁) 
상표소산(桑螵蛸散)[1] /  소변백탁(小便白濁) 
상표소산(桑螵蛸散)[2] /  유뇨(遺尿) , 산후임력(産後淋瀝) 
상표소산(桑螵蛸散)[3] /  산후임력(産後淋瀝) 
쇄양단(鎖陽丹) /  활정(滑精) , 탈정(脫精)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상표소(桑螵蛸)
1.Paratenodera sinensis Saussure   
2.Tenodera aridifolia Stoll.   
3.Stalilia maculata Thunb   
4.Hierodula patellifera Serville

별명;蜱蛸、 桑蛸、冒焦、螵蛸、致神、螳螂子、桑上螳螂窠、野狐鼻涕、赖尿郎、刀螂子、老鸹芯脐、螳螂蛋、尿唧唧、流尿狗、猴儿包、螳螂壳
영문명;Mantis Egg-case
귀경(歸經)
肝;肾;膀胱经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1.广腹螳螂,桑螵蛸(干燥卵鞘)含 蛋白质、脂肪、枸橼酸钙(6分分子结晶水)。卵黄球含糖蛋白(glycoprotein)及脂蛋白(lipoprotein)。   黑螵带卵内层平均含氮11.25%,不带卵外层平均含氮 14.50%。左粘胶腺(left colleterial gland)含原儿茶酸(procatechuic acid)的甙。   
2.薄翅螳螂,桑螵蛸含蛋白质、脂肪。卵黄球含糖蛋白及脂蛋白。全虫棕色素与黄色素为胆绿及其相类物质。   
3.华北刀螂,桑螵蛸含蛋白质58.5%,脂肪 11.95%,糖1.6%,还含粗纤维20.16%,水分2.81%,钙0.4%,铁,胡萝卜素样色素。团螵蛸带内层平均含氮10.53%,不带卵外层含氮13.09%。  
4.长螳螂,桑螵蛸含蛋白南、脂肪、碳水化合物、粗纤维及铁、钙、胡萝卜素样色素。
5.小刀螂,桑螵蛸含蛋白质、脂肪及粗纤维等。

공효(功效);고정축뇨(固精缩尿);보신조양(補腎助陽)
고증(考證);出自《神农本草经》陶弘景:桑螵蛸,以桑上者为好,是兼得桑皮之津气。
과속분류(科属分类);螳螂科
주치(主治);
유정(遺精);조설(早雪);양위(陽痿);유뇨(遗尿);뇨빈(尿頻);소변실금(小便失禁);백탁(白濁);대하(帶下)

생태배경(生态环境)
1.栖于草丛及树枝上。   
2多栖于向阳背风的灌木、矮小丛及草丛茺地处。
4.常活动于农田附近的瓜架、桑树、灌木或墙壁上

각각논술(各家論術)
1.《本经逢原》:桑螵蛸,肝肾命门药也。功专收涩;故男子虚损,肾虚阳痿,梦中失精,遗溺白浊方多用之。《本经》又言通五淋,利小便水道,盖取以泄下焦虚滞也。   
2.《本经》:主伤中,疝瘕,阴痿,益精生子。女子血闭腰痛,通五琳,利小便水道。
3.《别录》:疗男子虚损,五藏气微,梦寐失精,遗溺。
4.《药性论》:主男子肾衰漏精,精自出,患虚冷者能止之。止小便利,火炮令热,空心食之。虚而小便利,加而用。   
5.《本草衍义》:治小便白浊。
6.《玉揪药解》:治带浊淋漓,耳痛,喉痹,瘕疝,骨鲠。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每年秋季至翌年春季在树上采集卵鞘,蒸30-40min,以杀死其中虫卵,晒干或烘干。

선방(選方)
①治遗精自浊,盗汗虚劳: 桑螵蛸(炙)、白龙骨等分。为细末。每服二钱,空心用盐汤送下。 (《外台》)
②安神魂,定心志,治健忘,小便数,补心气: 桑螵蛸、远志、菖蒲、龙骨、人参、获神、当归、龟甲(醋炙)各一两。 为末。夜卧,人参汤调下二钱。 (《本草衍义》桑膘销散)
③治妊娠小便数不禁: 桑膘峭十二枚。捣为散。分作两服,米钦下。(《产书方》
④治小便不通及胞转: 桑螵蛸捣末,米饮服方寸匕,日三。(《产书方》)
⑤治产后遗尿或尿数 桑螵蛸(炙)半两, 龙骨一两。为末。每米饮服二钱。 (《徐氏胎产方》)
⑥治男妇疝瘕作痛: 桑螵蛸一两,小茴香一两二钱。共为末。每服二钱,花椒汤调服。(《本草汇言》)
⑦治咽喉骨鲠: 桑螵蛸,醋煎呷之。(《经验良方》)
⑧治底耳: 桑螵蛸一个。慢火炙及八分熟,存性,细研,入麝香一字,为末。掺在耳内,每用半字。如有脓,先用绵包子拈去,次后掺药末,入在耳内。(《经验方》)
⑨治小儿软疖: 桑螵蛸烧存性,研木,油调敷之。(《世医得效方》)

용약금기(用藥禁忌);阴虚火旺或膀胱有热者慎服。   
1.《本草经集注》:得龙骨治泄精。畏旋复花。   
2.《药性论》:畏戴椹。   
3.《本草经疏》:凡失精通溺,火气太盛者宜少少用之。   
4.《本经逢原》:阴虚多火人误用,反助虚阳,多致浸赤茎痛,强中失精,不可不知。

공효분류(功效分類)
보신약(補腎藥)
포제방법(炮制方法)
1.桑螵蛸《本草经集注》:“当破之。”《普济方》:“中劈破,研为细末”   《医学入门:“热水浸淘七次。”《本草能玄》:“浆水浸一日。”现行,取原药材,除去杂质,置蒸具骨蒸约1h,取出干燥。蒸制品可 消除生口致泻作用。   
2.炒桑螵蛸《雷公炮炙论》:“凡采得,去核子,用沸浆水浸淘七扁,令水遍沸,于瓷锅中熬令干用。”
《外台》:“炒。”《圣惠方》:“微炒”,“炒令黄。”现行,取净桑螵蛸,置锅内,用文火加热,炒至棕黄色 具有焦斑,取出,放凉。   
3.盐桑螵蛸《普济方》:“盐水炒。”现行,取净桑螵蛸,加入盐水拌匀,闷润后置锅内,用文火加热,炒至有香气逸出时,取出放凉。每桑螵蛸100gk,用食盐2.5kg。盐桑螵蛸可增强益肾固粗作用。
4.酒桑螵蛸《局方》:“酒浸炒。”《严氏济生方》:“酒浸。”《普济方》:“酒浸炙。”现行,取蒸过的净难 能可桑螵蛸,用酒喷洒均匀,微润,置锅内用文火加热,炒至微干,取出放凉。每次桑螵蛸100kg,用黄酒10kg。

생약재감정(生藥材鑑定)
性状鉴别
(1)团螵蛸略呈圆柱形或半圆形,由多数膜状薄层叠成,长2.5-4cm,宽2-3cm。表面浅黄褐色,上面带 状隆起不明显,底而平坦或有凹沟。体轻,质松而韧。横断面可见外层为海绵状,内层为许多放射状排列 的小室,室内各有一细小椭圆形卵,深棕色,有光泽。气微腥,味淡或微咸。   
(2)长螵蛸,略呈长条形,一端较细,长2.5-5cm,宽1-1.5cm。表面灰黄色,上面带状隆起明显,带有 两侧各有一条暗棕色浅沟及斜向纹理。质硬而脆。   
(3)黑螵蛸,略呈平行四边形,长2-4cm,宽1.5-2cm。表面灰褐色,上面带状隆起明显,两侧有斜向纹 理,近尾端微向上翘。质硬而韧。   均以干燥、完整、幼虫未出,色黄、体轻而带韧性,无树枝草梗等 杂质者为佳。

성미(性味);味甘;咸;性平
약재기원(藥材基源);为螳螂科动物大刀螂、南方刀螂、广腹螳螂的卵鞘。
임상운용(臨床運用);治疗遗尿症。取桑螵蛸、益智仁各1.5两(5-12岁儿童用1两),水煎,日服1剂。试治 11例,一般连服3-4剂 即可见效,再服2-3剂,可巩固疗效。

용법용량(用法用量);내복:煎汤,5-10g;研末,3-5g;或入丸剂。
외용:适量,研末撒或油调敷。


참고문헌
증류본초, 중화복초, 익생의 자연건강 컨텐츠, 두산백과, 여지도서, 본초, 위키백과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