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백작약(白芍藥), 함박꽃, 강작약
 

백작약(白芍藥)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잎: 3~4개가 어긋나고 3개씩 2회 갈라진다. 작은 잎은 길이 5~12cm, 나비 3~8cm로서 긴 타원형이거나 거꿀달걀꼴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 끝이 좁다. 털은 없으며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빛이 돈다.
꽃: 6월에 지름 4~5cm의 흰 꽃이 줄기 끝에 1개씩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3개인 꽃받침 조각은 달걀꼴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 꽃잎은 5~7개이며 길이 2.5~4cm의 거꿀달걀꼴이다. 수술은 많고 꽃밥의 길이는 5~7mm이다. 씨방은 3~4개이며 암술대는 뒤로 젖혀진다.
열매:7~10월에 길이 2~3cm인 긴 타원형의 골돌과가 달려 익는데 벌어지면 안쪽이 붉어지고 가장자리에 덜 자란 붉은 씨와 다 익은 검은 씨가 나타난다.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사할린섬
서식장소 : 깊은 산
크기 : 높이 40∼50cm
용법 : 달이거나 환, 가루로 먹음
약용부위 : 뿌리
금 기:虛寒腹痛泄瀉, 陽衰虛寒者는 服用을忌한다. 藜蘆에 反한다. 肝機能이 不良한患者가多量 또는長期間服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報告가 있다. 여로(藜蘆)와 같이 쓰지 말 것. 장위중랭자(腸胃中冷者)는 복용하지 말 것.

주치증상
本經(본경): 복통, 저린 증상, 적취를 치료하며 통증을 멎게 하고 소변을시원하게한다.고 하였다.
別錄(별록):피를 잘 돌게 하고 복부근육을 이완시키고 어혈과 나쁜 피를 제거하고 부종을 없앤다.방광과소장 대장을원활하게하고 종기를가라앉히며 전염병에 의한 발열 증상을치료하고 복통과요통을치료한다.고하였다.
甄權(견권):오장육부의 기가 뭉쳐진것을치료하고 오장을 튼튼하게하며 腎氣(신기)를보충한다.陰(음)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미열을 치료하고 여성이 생리가 잘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아울러 腫氣(종기)를 삭힌다.
池大明(지대명):각종 부인과 질환, 출산 전후 모든 질환을 치료하고  風病(풍병)을  치료하고  허약체질을 보완하고 氣(기)를 보충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미열이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놀라는 증상,정신이상,두통,충혈된 눈, 설사, 치질, 혈변, 종기와 피부병을 치료한다.
張元素(장원소):肝(간)의 기능항진을 억제하고 脾(비)와 肺(폐)를 편안하게 하고 胃氣(위기)를 잘 수렴하여 설사를 멎게 하고 피부를튼튼하게하며 혈관을조화롭게 하고 陰氣(음기)을 잘  수렴하고 氣(기)가 위로  치받는  것을 제거한다.
王好古(왕호고):소화기능을 촉진시켜서소화기능의 허약으로 인하여 속이 더부룩하고 명치 부위가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또한 옆구리 아래가아픈 것,트림을 자주 하는 것, 폐가 좋지 않아 천식이 있는 것, 코피를 자주 흘리고 눈이 뻑뻑한 증상을 치료한다.肝血(간혈)이 부족한 상태를 개선시키고  양유맥(陽維脈)이병들어 몸에 열이 났다. 가싸늘해지는것이반복되는 증상을 치료하고 帶脈(대맥)이 병들어 복통이심하고 허리부위가 싸늘한증상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설사와 복통을 그치게하고 배변후 뒤가 묵직한 느낌을 치료한다."

진상품관련근거
백작약(白芍藥)은 강원도(간성, 강릉, 금성, 삼척, 양구, 영월, 원주, 이천, 정선, 철원, 춘천, 통천, 평강, 평창, 홍주, 회양, 횡성, 흡곡) 경상도(개녕,거창,경산,경주,고령,고성,곤양,군위,금산,대구,동래(부산),문경,봉화,사천, 산청,삼가,상주,선산(구미시),순흥(영주시),신녕,안의,양산,언양,연일,영덕,영산,영양,영천,예안,예천,용궁,울산,의녕,의성,의흥,인동,임천,자인,지례(김천),진보,창원,청하,초계,칠곡,풍기,하동,하양,함안,함양,함창,현풍,흥해) 충청도(공주감영,단양,연산,은진(논산)) 황해도(감영,康翎,곡산,문화,서흥,송화,수안,신계,신천,안악,연안,은율,長淵,長連,재령,토산,평산,풍천,해주,황주)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여지도서에 기록되어있다.

백작약 약성가(藥性歌)
白芍酸寒  腹痛痢 . 能收能補 虛寒忌  (백작산한 복통리. 능수능보 허한기)
맛은 산하면서 차다 복통과 이질으르 치료하며 능히수렴하고 능히보한다 허한에는 금기한다.

특징 및 사용
강작약이라고도 한다. 덩이뿌리를 형성하는데 뿌리는 희고 굵은 육질이며 원추형 또는 방추형이다. 원줄기의 밑 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유사종으로 잎의 뒷면에 털이 난 것을 털백작약, 잎의 뒷면에 털이 나고 암술대가 길게 자라 뒤로 말리며 꽃이 붉은 것을 산작약, 산작약 중에서 잎의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민산작약, 잎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것을 호작약, 씨방에 털이 빽빽이 나는 것을 참작약이라 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철) 도구를 쓰지 않는다.

함박꽃뿌리
①小毒이 있다.
②手足太陰으로 行經하며, 肝脾血分으로 들어 간다.
③花紅單葉으로 山中에 있는 것이 좋다. 흰 것은  補하고 붉은 것은 瀉한다. 竹刀도 껍질을 벗기고  蜜蒸한다. 寒을 避할 者에게는 酒炒해서 쓴다.(본초).
 
내용
강작약이라고도 한다. 깊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40∼50cm이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잎은 3∼4개가 어긋나고 3개씩 2번 갈라진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고 지름 4∼5cm이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달걀 모양이며 3개,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5∼7개이다. 수술은 여러 개이며 3∼4개의 씨방이 있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벌어지면 안쪽이 붉고 덜 자란 붉은 종자와 성숙한 검은 종자가 나타난다.
잎의 뒷면에 털이 난 것을 털백작약(var.pilosa), 잎의 뒷면에 털이 나고 암술대가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리며 꽃이 붉은색인 것을 산작약(P.obovata), 산작약 중에서 잎의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민산작약(p.o.var.glabra)이라고 한다. 뿌리를 진통·진경·부인병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한다.

약재의 효능
자음삽장(滋陰澁腸), 진통작용이 강하여 갖가디 통증에 효험이 있다. 보혈강장약으로, 부인병약으로 복용한다, 斂陰止汗,養血,緩中,柔肝, 止痛, 平抑肝陽 ,
가을에 뿌리를 캐어서 겉껍질을 긁어낸 다음 끓는 물에 가볍게 데쳐 햇볕에 말린다. 약리실험을 보면 백작약 뿌리에 진정, 진통, 진경, 해열, 항염증, 항궤양과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통증 제거 * 백작약 뿌리는 진통 작용이 특히 강하여 여러 종류의 통증을 진정시키고 멈췍 하는 효과가 현저히 나타난다고 한다. 즉 복통, 위장 경련으로 오는 위통,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통증, 신경통, 월경통, 가슴 속의 통증, 두통, 급성복통 등을 가라앉혀 주는 것이다. 여기에는 백작약 뿌리와 감초 뿌리를 각 4g씩 배합하여 달인 것을 하루 세번에 나누어 복용하면 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원기 부족 * 그리고 이 뿌리 약재는 보혈 강장약으로도 쓰이는데 혈액이 부족하여 생기는 원기쇠약(혈허), 저절로 식은땀(도한)이 흐르는 증세, 일반적인 허약으로 생기는 현기증, 지나친 피로, 잘 먹지 못해 생기는 원기부족, 노쇠하여 일어나는 신체허약증 등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약효를 나타낸다. 그 외에 월경불순, 자궁출혈, 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 대하증과 같은 부인들의 골치 아픈 증세를 고치는 데 약용한다. 전초는 헛배 부른 데와 설사멎이에도 쓰인다고 한다. 일반적인 복용량은 하루에 6~12g 정도이다.
뿌리에  안식향산과 아스파라긴이 들어 있어 진통제와 해열제로쓰이고,부인병의 치료에도효과가 있다. 잎에서 쓰고 신맛이 나기 때문에 나물로 먹으려면 잘 우려내야 하며,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백작약은 수렴작용과 해열작용을나타내고 간의기운이 뭉친 것을 풀어주고 통증을 감소시켜주는 작용이 있어 각종 통증과 함께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가슴,옆구리와 배 아픈 증상,  팔다리의 경련과 통증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또한 몸이 허하여 땀이 많이 나는 증에 응용한다.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양혈조경(養血調經)
유간(柔肝) (양간(養肝) 간음허(肝陰虛), 간혈부족(肝血不足)으로 음혈(陰血)이 마른 병증에 씀.)
난위(暖胃) (온위산한(溫胃散寒)이라고도 부르며 성질이 따뜻하거나 더운 약으로 위한증(胃寒證)을 치료하는 치법임.)
염음(斂陰) (음기(陰氣)를 수렴하는 치료법임.)
지한(止汗) (손등의 가운뎃손가락과 무명지(無名指)의 사이로, 지골(指骨)과 중수골(中手骨)의 접합처에서 위로 1치[寸] 6푼[分]이 되는 곳에 위치하며 땀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동씨기혈(董氏奇穴)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강오장(强五臟) (오장(五臟)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화영설열(和營泄熱) (영혈(營血)을 조화시켜 열을 내보내게 하는 효능임)
완급지통(緩急止痛) (급(急)한 기운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이방광대소장(利膀胱大小腸) (방광(膀胱)과 대장(大腸), 소장(小腸)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수렴(收斂) (넓게 펼쳐진 기운을 안으로 모으는 것을 말하는 것임)

식용 방법
봄에 어린 잎을 따 모아서 나물로 무쳐 먹는다. 쓰고 신맛이 있으므로 데쳐서 우려낸 후에 먹는데, 약간 쓰고 신 맛이 어우러진 것은 그런데로의 야취를 맛볼 수 있으므로 너무 우려내지 않는 게 좋을 것 같다. 실제로 드물게 나는 풀이므로 이것만 가지고 나물로 하기는 어려우며 다른 풀과 섞어서 먹는다. 그리고 뿌리를 잘게 토막내어 3~4배량의 소주에 담가 2개월 이상 숙성시킨 다음 날마다 공복에 조금씩 마신다. 위에서 지적한 병의 증세를 완화시키는 술이다.

식물 특징
길고 살진 뿌리를 가지고 있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곧게 서고 60cm 안팎의 높이로 자란다.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는데, 두 번에 걸쳐 세 장의 잎조각이 한자리에 합치거나 또는단 한 번 합치기도 한다. 잎조각은 타원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다. 줄기 끝에 한 송이의 꽃이 피어나는데 5~7장 정도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꽃은 활짝 피지 못하고 반 정도 벌어진 상태에 머무는데 그 지름은 4~5cm 이다. 꽃 피는 시기는 5~6월이다. 꽃의 빛깔은 흰빛이며 붉게 피는 것도 있다. 이것이 참된 산작약이다.
처방의 질병:대변이 묽고 횟수가 많은 병증.
이질(痢疾): 장벽(腸澼). 체하(滯下). 급성장도질환의 하나. 장부의 전화(傳化) 기능이 잘 되지 않아 진액이 내상(內傷)되거나, 또는 습열역독(濕熱疫毒)을 감수해 장안에 적체해 생김. 대변이 잦고 소량이며, 복통과 이급후중(裏急後重)이 따르고, 점액성 변 또는 농혈변이 나옴. 병인에 따라 서리(暑痢), 습리(濕痢), 한리(寒痢), 열리(熱痢)로 구분함. 대변 성상에 따라 적리(赤痢), 백리(白痢), 적백리(赤白痢), 농혈리(膿血痢), 오색리(五色痢)로 나눔. 또 병의 경중, 병정으로 역리(疫痢), 독리(毒痢), 기리(氣痢), 금구리(噤口痢), 휴식리(休息痢), 구리(久痢), 허리(虛痢)로 분류함.

동일효능처방
설사(泄瀉)
가자피(訶子皮)[3]  / 화탁삽장(化濁澁腸)
고장환(固腸丸)[1]  / 삽장고탈(澁腸固脫)
나미(糯米)[2]  / 화중삽장(和中澁腸)
목향(木香)[2]  / 수삽고탈(收澁固脫), 화위지사(和胃止瀉)
백출(白朮)[4]  / 설사통치(泄瀉通治)
삼백탕(三白湯)  / 익기건비(益氣健脾)
상실(橡實)[2]  / 온중삽장(溫中澁腸)
육두구(肉豆蔲)[1]  / 삽장지사(澁腸止瀉)
조습탕(燥濕湯)  / 건비조습(健脾燥濕), 익기고장(益氣固腸)
차전자(車前子)[2]  / 청열이습(淸熱利濕)
이질(痢疾)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2]  / 이질통치(痢疾通治)
가압(家鴨)  / 자음보혈지사(滋陰補血止瀉)
구명연년환(救命延年丸)  / 청열화습(淸熱化濕)
목향(木香)[2]  / 수삽고탈(收澁固脫), 화위지사(和胃止瀉)
목향도기탕(木香導氣湯)  / 청열화습(淸熱化濕)
밀(蜜)[3]  / 익기고장(益氣固腸)
백중산(百中散)  / 이질통치(痢疾通治)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수삽고탈(收澁固脫)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삽장지사(澁腸止瀉)
신효월도산(神效越桃散)  / 청열화습(淸熱化濕)
앵속각(罌粟穀)[1]  / 삽장지사(澁腸止瀉)
우간(牛肝)[1]  / 청열이습(淸熱利濕)
육신환(六神丸)  / 보중건비(補中健脾)
이간단하탕(易簡斷下湯)  / 삽장지사(澁腸止瀉)
향련환(香連丸)  / 고기행혈(調氣行血), 청열화습(淸熱化濕)

참고문헌
李時珍(이시진): 다음백과사전, 동의보감, 본초,산야초 동의보감 (장준근), 네이버 백과사전, 토종약초장수법(최진규), 익생의 자연건강 컨텐츠, 本經(본경) , 別錄(별록), 甄權(견권), 池大明(지대명), 張元素(장원소), 王好古(왕호고), 李時珍(이시진), : 탕액본초(湯液本草), 여지도서

로고_임금님진상품_카페용150.jpg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