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e8ccf7afdd6c52258b6fbe6c00a9fd6a_1443601259_4273.jpg
 
 감석(甘石), 노감석(盧甘石), 양간석(羊肝石), 노안석(爐眼石), 노산생(爐山生), 부수감석(浮水甘石)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爐先生(노선생)이 있다.
土宿眞君(토숙진군): 이 물질이 변화를 일으켜 神藥(신약)이 되는 것이 매우 절묘하기 때문에 九天(구천, 하늘 중 가장 높은 곳)과 三淸(삼청, 높은 하늘 세계에서 신선이 산다는 곳)에서도 그것을 높이 평가하여 爐先生(노선생)이라고 하였으니, 하찮은 약이 아니다.
李時珍(이시진): 화로 불 속에 얻어지는 무거운 약재로써 맛이 달기 때문에 爐甘石(노감석)이라고 명명하였다. Smithsonite의 돌로 풍열(風熱)로 인해 안구가 붓고 충혈(充血)되어 아픈 것을 치료하며 피부습진(皮膚濕疹), 만성피부궤양, 가려움증에 효능이 있는 약재임
탄산염류광물(炭酸鹽類鑛物)인 방해석족(方解石族)의 능자광(菱鋅鑛) Smithsonite을 채취한 후 잡석을 제거하고 세정하여 쇄건(曬乾)한 것.
주치병증:  습창(濕瘡), 농수임리(膿水淋漓), 예막노육(翳膜努肉), 피부소양(皮膚搔痒), 안연적란(眼緣赤爛), 목적종통(目赤腫痛)

진상품관련근거
노감석은 황해도(봉산군, 서흥도호부)에서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있다.

수치법 
보통 하(煆)와 수비(水飛)의 방법을 겸용한다. 노감석(爐甘石)을 내화(耐火)용기에 넣고 하(煆)하여 붉게 되면 꺼내어 물속 혹은 삼황탕(三黃湯)ㆍ황연수(黃連水)나 동변수(童便水)에 침쉬(浸淬)하고 교반(攪拌)하여 현탁액(懸濁液)을 취하고 남은 찌꺼기를 다시 소하(燒煆)하여 침쉬(浸淬)하기를 3-4차 하여 만든 혼탁액(混濁液)을 합하여 윗부분의 맑은 물은버리고 침전물을 건조시켜 분쇄하여 사용한다. 또는 동변(童便)에 쉬(淬)하기를 30여차(次) 한 후에 연세(硏細)하여, 황연(黃連), 웅담(龍膽) 각 1.0전(錢), 당귀(當歸) 3전(錢)을 달인물로 중탕(重湯)하여 증건(蒸乾)하고 다시 연세(硏細)하기를 극세(極細)하게 한다. 노감석동변제(爐甘石童便製) : 노감석(爐甘石)을 솥에 넣고 뚜껑을 덮어 벌겋게 달군 후 동변(童便)에 담그기를 9회 반복한 후 수비(水飛)하여 정제함. 재질(材質)이 세미하여 안과(眼科)에서 외용하기 좋다. 노감석황련수반(爐甘石黃連水拌) : 노감석은 안과(眼科)에서 많이 외용하나 입자(粒子)가 비교적 거칠어 민감한 부위를 자극하기 쉽다. 그러나 하(煆)하여 황련 달인 물에 쉬(淬)하거나 반제(拌製) 하면 자극성이 없어지고 청열명목, 염창(斂瘡), 수습효능(收濕効能)이 강화된다. 황련 달인물에 노감석분(煆爐甘石粉)을 넣어 흡수시킨 후 홍건(烘乾)하여 세분(細粉)함. 삼황제노감석(三黃製爐甘石) : 황련(黃連), 황백(黃柏), 황금(黃芩)에 물을 부어 2-3번 달여 쓴 맛이 없어지면 여과하여 합함. 여기에 하노감석(煆爐甘石) 세분(細粉)을 넣고 약즙이 다 흡수되면 건조시킴. 청열명목(淸熱明目), 염창수습(斂瘡收濕) 효능이 강화됨. 하노감석(煆爐甘石) : 노감석(爐甘石)을 내화(耐火) 용기에 넣고 센 불로 벌겋게 달군 후 꺼내서 곧 물에 담가 침쉬(浸淬)하고 위의 현탁액을 취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말림. 이를 다시 3-4회 반복하고 최후의 부스러기는 버리며 현탁액은 다 가라앉혀 침전물을 취하여서 건조시킴.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이명:  감석(甘石), 노감석(盧甘石), 양간석(羊肝石), 노안석(爐眼石), 노산생(爐山生), 부수감석(浮水甘石)
성미:  감(甘), 무독(無毒), 온(溫)
작용부위:  간(肝), 비(脾), 폐(肺)
금기:  내복(內服)을 금(禁)한다.
포함처방:  노감석산(爐甘石散), 연분산(連粉散), 환정자금단(還睛紫金丹)A, 신성병(神聖餠), 광명단(光明丹)A, 로뇌산(爐腦散), 발풍운고(撥風雲膏), 팔보단(八寶丹)A, 광명산(光明散), 용담고(龍膽膏), 환정자금단(還睛紫金丹)B, 복명고(復明膏), 마장영광고(摩障靈光膏), 석연단(石燕丹), 자금고(紫金膏), 광명단(光明丹)B, 금로산(金露散), 단사산(丹砂散), 수루산(收淚散), 황련감석산(黃連甘石散)
약재키워드: 노감석(爐甘石), 감석(甘石), 건석(乾石), 노감석(盧甘石), 노산생(爐山生), 노산석(蘆山石), 노선생, 노안석(爐眼石), 능아연광(菱亞鉛鑛), 능아연석, 백노감석(白爐甘石), 부수감석(浮水甘石), 수아연석, 양간석(羊肝石), 제감석(製甘石), 탄산염류광물

약재의 효능
해독(解毒):(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명목(明目):(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거예(去翳):(예(翳)를 제거하는 효능임) 
생기(生肌):(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염창(斂瘡):(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지혈(止血):(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소종(消腫):(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살충(殺蟲):(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조습(燥濕):(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치목병(治目病) 

약재사용처방
노감석(爐甘石):풍안유루(風眼流淚) 
노감석산(爐甘石散):난현풍(爛弦風) 
색루공방(塞漏孔方)[2]:치루(痔瘻) 
연분산(連粉散):개선(疥癬) 
환정자금단(還睛紫金丹):난현풍(爛弦風) 

주치증상
李時珍(이시진): 止血(지혈)효능이 있고 부스럼을 삭히고 새살을 돋게 한다. 눈을 밝게 하고 눈 안에 군살이 돋아 시야를 가리는 것을 없앤다. 피부가 짓물러 축축한 것을 치료한다. 龍腦(용뇌)와 함께 點眼(점안)하여 눈에 발생하는 모든 병을 치료한다.
노감석(爐甘石)-가볍고 희며 양의 골 같다. 눈병을 낫게 하는 주약(主藥)으로 쓴다. 사기 약탕관에 넣고 뚜껑을 덮고 달구어 빨갛게 된 후 동변(童便)에 아홉 차례 담근 후 가루 내어 수비하여 쓴다.

참고문헌
익생의 자연건강, 한국전통지식포탈,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2012.1.10, 도서출판 들녘),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네이버지식백과(용어해설), 동의보감,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李時珍(이시진), 신증동국여지승람


   

                                            크기변환_133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