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가물치
가지
간재미
갈근
갈치
감자
감태
감초
감홍로주
강활
강황
게장
고구마
고등어
고본
고사리
고슴도치
고추
고추장
곤쟁이
골풀
곰취
곱돌
과루인
곶감
과메기
곽향
광어
구기자
구리
국수
국화차
굴비
금불초
기장
김치
꼬막
꼴뚜기
꽃게
꿀풀
나물
나전칠기
낙죽장도
낙지
냉이
노루
녹두
녹용
녹차
농어
뇌록
누치
느룹나무
느타리버섯
다시마
다람쥐
다래
다슬기
닥나무
단감
단목
달래
담비
담쟁이
당귀
대게
대구
대나무
대발
대추
더덕
더덕주
도라지
도루묵
도마뱀
도미
도자기
돈육
돈차
돌미역
돔배기
동래파전
동백기름
동충하초
돚자리
돼지
된장
두꺼비
두릅
두충
딸기
들기름
마늘
마뿌리
만화석
막걸리
망둥어
매생이
매실
맥문동
맨드라미
머루
머루주
메밀차
멸치
명란젓
명설차
명태
모과
모란
모래무지
모시
모자
목기
목화
무명
무우
문배주
문어
미나리
미역
민속주
민어
밀랍
박하
방풍
백랍
백련잎차
백렴
백미
백반
백부자
백조어
백하수오
백합
밴댕이
뱅어
벼루
병어
법주
보골지
보리
복령
복분자
복숭아
복어
부들
부자
부채
부추
붉나무
붕어
비빔밥
비자
뽕나무
사과
사슴
산나물
산삼
삼림욕
산수유
살구
삼릉
삼배
삼치
상합
상황버섯
새우
새우젓
생강
석결명
석곡
석류
석영
석이버섯
석청
석창포
소금
소라
소주
속새
송어
송이버섯
송화가루
수달
수박
수정
숙주
순채
숭어
승검초
식해
안동포
안식향
앵두
야콘
야콘잎차
약쑥
양귀비
어란
어리굴젓
어육장
엄나무
연밥
연어
연엽주
열목어
염전
엽삭젓
오가피
오미자
오곡
오골계
오정주
오죽
오징어
옥돔
옥로주
옹기
옻칠
왕골
용문석
우무
우황
울금
웅어
위어
유기
유자
유자차
유황
육포
은어
은행
이강주
이스라지
익모초
인삼
인삼주
잉어
자단향
자두
자라
자라돔
자연동
자하젓
작설차
작약
장군풀
장아찌
전모
전복
전어
전어젓
전통주
젓갈
젓새우
정어리
조개
조기
조홍시
좁쌀
종어
종이
주꾸미
죽렴장
죽로차
죽순
죽순채
죽염멸치
죽엽청주
죽피
죽합
준치
중국차
지라돔
지치
질경이
찐빵
참가사리
참게
참기름
참죽나물
참외
찹쌀
창출
천궁
천남성
천문동
청각
청국장
청란석
청목향
청자
초콜릿
초피나무
초하주
추성주
취나물
치자
칠선주
콩잎
토마토
토끼
토사자
토주
토파즈
토하젓
파전
패랭이
편두
포도
포도주
표고버섯
표범
하늘타리
학슬
한과
한라봉
한우
한지
해구신
해달
해삼
해파리
해홍나물
향나무
호도
호로파
호두
홍삼
홍삼절편
홍시
홍어
홍주
홍합
화개차
화문석
황기
황률
황벽나무
황어
황옥
황진이주
황태
회양목
후박
후추
흑돼지
흑염소
흑한우
로그인 l 회원가입

d1e6e5dd8f3a932740f0ca9e73e5feae_1522380410_399.jpg
 
 
 
 
생강나무 산후통치료에 효험이 크다.
20-05-10 15:53


가지를 꺾으면 생강과 비슷한 내음이 나는 나무가 있다. 생강처럼 톡 쏘지 않고 은은하면서도 산뜻한 냄새가 나는 이 나무를 생강나무라고 부른다. 생강나무는 이른 봄철 꽃이 제일 먼저 피는 나무의 하나다. 산수유꽃을 닮은 노란꽃이 개나리꽃보다 먼저 피어 봄을 알린다.
생강나무는 녹나무과에 딸린 잎지는 떨기나무다. 생강나무라는 이름말고도 개동백 황매목(黃梅木) 단향매 새앙나무 아기나무 등 여러 이름이 있다.
생강나무 씨앗으로는 기름을 짠다. 이 기름은 동백기름이라 해서 옛날 사대부집 귀부인들이나 높은 벼슬아치를 상대하는 이름난 기생들이 사용하는 최고급 머릿기름으로 인기가 높았다.
생강나무는 도가(道家)나 선가(仙家)에서도 귀하게 쓰는 약재다. 도가의 신당이나 사당에 차를 올릴 때 이 나무의 잔가지를 달인 물을 쓰는데 그렇게 하면 신령님이 기뻐한다고 한다.

생강나무의 어린잎이 참새 혓바닥만큼 자랐을 때 따서 말렸다가 차로 마시기도 한다. 이것을 작설차라고 부르는데 차나무가 귀했던 북쪽지방 사람들이 즐겨 마셨다. 잎을 따서 말려서 튀각도 만들어 먹고 나물로 무쳐먹기도 했다. 독특한 향이 나름대로 풍미가 있다.
녹차는 성질이 차서 몸이 찬 사람들에겐 좋지 않지만 생강나무잎차는 죽은피를 없애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몸 속에 쌓인 갖가지 독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차로 마셔봄직하다.


생강나무는 다친 상처나 어혈, 멍들고 삔 데, 여성이 아이를 낳고 몸조리를 잘 못해서 생긴 산후풍 등에도신기하다 싶을 만큼 효력을 발휘한다. 산 속에서 발을 잘못 디뎌 허리나 발목을 삐었을 때 이 나무의 잔가지나 뿌리를 잘게 썰어 진하게 달여 마시고 땀을 푹 내면 통증이 사라지고 어혈도 풀린다.
이 나무의 잔가지 뿌리껍질을 날로 짓찧어 멍들거나 상처 난 부위에 두껍게 붙이고 이와 함께 잔가지 30~50g을 진하게 물로 달여서 마신 다음 이불을 뒤집어쓰고 누워 땀을 푹 낸다. 한 두번 이렇게 하고 나면 욱신욱신 쑤시고 아픈 통증도 싹없어지고 상처도 빨리 낫는다.
이 나무는 삐고 멍들고 타박상으로 인한 두통 오한 등에 효험이 있다. 이 나무를 차처럼 달여서 늘 마시면 두통 기침 배아픔 근육통 간염 관절통 등에 두루 효험을 보인다. 민간에서는 이 나무를 기침약 또는 열내림약으로 잎과 잔가지를 달여 먹는다.

생강나무 씨앗도 약으로 쓴다. 까맣게 익은 씨앗을 술에 담가 두었다가 마시면 근육과 뼈가 튼튼해지고 머리가 맑아진다. 술을 담그려면 생강나무 씨앗의 3~4배쯤 술을 붓고 마개를 꼭 막은 다음 어둡고 서늘한 곳에 6개월쯤 두었다가 하루 세 번 소주잔으로 한잔씩 마신다.
생강나무는 간장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황달이나 만성간염에 머루덩굴 35~40g, 찔레나무뿌리 10~20g, 생강나무 20~30g을 물 1되에 넣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세 번 밥 먹고 나서 마신다.


생강나무는 비슷한 종류가 몇 가지 있다. 잎 뒷면에 털이 있는 털생강나무, 잎의 끝이 세 개로 갈라지지 않고 둥글게 붙어있는 둥근생강나무, 잎이 다섯 개로 갈라진 고로쇠생강나무 등이 있다. 고로쇠생강나무는 전라북도 내장산에서만 자라는 우리 나라 특산식물이다.

생강이 들어오기 이전에 이 나무껍질과 잎을 말려 가루 내어 양념이나 향료로 쓰기도 했으니 이 나무는 여러모로 우리네 가난한 민중과 가까왔던 약나무이다.
산후통 또는 산후풍이라 부르는 질병은 여성들이 아이를 낳고 나서 몸조리를 잘못해서 생기는 병이다. 팔다리 어깨 허리 온몸의 뼈마디 같은 데가 쑤시고 시리고 저리고 아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온몸 특히 머리에 찬바람이 솔솔 들어오는 것 같기도 하고 식은땀이 나며 찬물에 손을 넣지 못하고 갈증이 몹시 나서 찬물을 벌컥벌컥 마시기도 한다.

산후통은 서양여성한테는 거의 없고 동양여성한테 많다. 산후통은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올 때, 곧 습도가 높을 때 증세가 심해 날궂이병이라고 한다. 날씨가 맑을 때에는 아무렇지도 않다가 날이 궂으면 견디기 어려울 만큼 통증이 온다.


산후통은 몸을 풀고 나서 몸 안에 있던 어혈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남아 있다가 신경선이나 관절 같은 데에모여서 염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나타난다. 여성이 몸을 풀고 나서 땀을 흠뻑 내어 출산 때 생긴 죽은피나 독소를 몸밖으로 내보내지 않으면 죽은피나 독소가 그대로 몸 안에 남게 된다.
또 출산으로 몸 전체가 완전히 이완되었을 때 갑자기 찬바람을 쐬거나 찬바람을 맞으면 찬 기운이 몸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산후통의 원인은 어혈과 찬 기운이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여성의 몸은 아이를 낳을 때 온몸 전체의 근육과 뼈마디가 완전히 늘어져 풀렸다가 천천히 본래대로 되돌아간다. 그 기간이 동양의학에서는 대략 49일쯤 걸린다고 하여 그 기간동안 몸조리를 하게 한다. 이 기간동안 몸을 따뜻하게 하여 몸의 땀구멍을 열어 땀을 푹 내면 어혈과 독기가 땀구멍으로 빠져나가게 되지만 땀을 충분히 내지 못하면 어혈과 독기가 몸 안에 남는다.
또, 갑자기 찬바람이나 찬 기운을 쐬면 땀구멍으로 찬 기운이 스며들면서 땀구멍이 수축된다. 이렇게 몸 안에 남은 어혈과 찬 기운이 뭉쳐서 몸 안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다가 원기가 쇠약해지면 신경통 관절염 디스크 요통 같은 합병증이 되어 산후풍으로 나타난다.

산후풍은 아이를 낳고 나서 곧바로 나타나는 수도 있지만 몇 달이나 몇 년 혹은 수 십년이 지나서 나타나는 수도 적지 않다. 서양의학에서는 산후통이라는 병이 없고 몸은 견딜수 없이 아픈데 병원에 가보면 아무 탈이 없고 다만 신경성이라고 하기 일쑤다.
산후통에는 생강나무가 특효약이라 할만하다. 생강나무 줄기나 잔가지를 아무 때나 채취하여 잘게 썰어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렸다가 약으로 쓴다. 생강나무줄기나 잔가지를 썰어 말린 것 40~60g에 물 1되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3~4번에 나눠 식후에 마신다.
저녁에 잠자기 전에 마시고 나서 방을 뜨겁게 하여 이불을 뒤집어쓰고 땀을 푹 내면 효과가 더욱 빠르다.


몸이 쇠약하고 잠이 잘 오지 않으며 어지럽고 소화가 잘 안되며 정신이 불안한 등의 증상이 있을 때에는 메추리알을 한번에 5개씩 하루 세 번 먹도록 한다. 메추리알은 보양작용이 탁월하여 쇠약해진 몸이 빨리 회복되도록 도와준다. 생강나무를 일주일쯤 먹으면 몸에 찬바람이 솔솔 들어오는 듯한 느낌, 찬물에 손을 넣지 못하는 증상, 두통 식은땀이 나는 것 같은 증상이 90%이상없어진다. 산후통으로 인한 여러 증상들은 대개 보름이내에 없어지지만 쇠약한 몸이 회복되기까지는 3~4개월이 걸린다.

생강나무는 맛이 약간 매우면서 시다. 성질은 따뜻하고 간과 신장과 뼈를 이롭게 한다. 많이 먹어도 부작용이 없으므로 마음놓고 쓸 수 있는 토종약재다. 산 속에서 다리를 삐거나 넘어져 상처를 입었을 때 구급약으로 귀하게 쓸 수 있고 여간해서는 잘 낫지 않는 병인 산후통치료에 효험이 크다.
 
 

   
                                                    크기변환_13333.jpg